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가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2021년 블록체인 확산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확산사업은 온라인 투표, 기부, 사회복지, 신재생에너지, 우정사업 등 5대 분야에 대해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과기부가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통해 가능성과 파급력이 가장 높은 분야로 올해 처음 시행된다.
블록체인 온라인 투표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장점을 활용한 시스템이다. 많은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 투표를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관리하게 된다.
투표 내역을 많은 블록체인에 공유함으로써 분산 관리가 가능해진다. 투표가 끝난 후 정당, 후보자 등이 개표 결과를 직접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유권자들의 투표 여부와 기록까지 저장해 더욱 편리하게 관리가 가능하다.
블록체인 투표의 가장 큰 장점은 후보자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투표 내역을 스스로 검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로써 선거 결과에 신뢰성을 높이고 투표 부인, 이중투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 기부 분야에도 블록체인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 과정에는 민간기업 코페이가 모금하는 과정부터 수혜자에게 전달되는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기부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분산 ID를 적용해, 수혜자-기부자의 본인인증, 복지사 자격 검증을 지원하고 기부자가 희망하는 기부단체를 선택해 기부 물품을 구매하고 배송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우편, 보험, 예금 등을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우정 서비스 통합고객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한편, 이번 2021년 블록체인 확산사업은 서비스별로 나누어져 있던 고객 관리 체계를 분산 ID 기반으로 통합 시켜 한 개의 ID로 모든 우정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