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금융 상품 개발
대다수 시중 은행이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세 이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탑재한 신흥 핀테크 기업과의 디지털 경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금융권에서 디지털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던 모바일 주택담보 대출 상품과 같은 각종 비대면 상품을 출시하는 추세가 이에 해당한다.
실제로 케이뱅크가 시중 은행 최초로 주택담보 대출 상품을 모바일로 선보였으며, 다른 여러 은행도 뒤이어 모바일 주택담보 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비대면화에 소극적이었던 시중 은행이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해 복잡한 서류 제출 과정을 생략하고 최단기간에 대출금을 지급하는 상품을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금융업과 IT, 유통 산업의 경계가 흐릿해짐에 따라 새로운 경쟁자로 떠오르는 신흥 기업과의 경쟁 구도에서 생존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인공지능을 도입한 채용
은행은 비대면 상품뿐만 아니라 채용 과정에도 디지털 혁신을 이루고자 한다. 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채용 과정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그렇다면, 실제 주요 은행의 AI 기반 채용 현황은 어떨까?
우선, 하나은행은 공채 선발 자기소개서 평가 항목에 AI를 활용한다. 그리고, 우리은행과 KB국민은행, 신한은행은 공채 면접 대상자에게 AI 면접을 진행한다. 기업은행도 청년인턴 채용 과정에서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AI 역량평가를 시행했다.
이들 은행 모두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입사 지원자의 경력과 근무 기간, 자격증 정보, 그리고 출퇴근 거리까지 구체적인 정보를 분석해, 근무자를 정한다.
게다가 KB국민은행은 채용 과정에서 더 나아가 인사이동에도 AI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여러 은행이 인사 절차에 AI와 빅데이터 기술 등 첨단 기술을 도입하면서 인사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면서 인수인계 과정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핀테크·첨단기술 신흥 기업 투자
최근, 은행권은 첨단 기술을 갖춘 기업에 직접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갖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단순 대출 서비스를 넘어서 지분 투자까지 나서는 추세이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은 2021년 1분기까지 4차 산업 관련 스타트업, 벤처 기업 105곳에 총 913억 원 상당의 금액을 투자했다.
특히, 우리은행은 투자 손실 발생 시 고의나 과실이 아닌 이상 책임을 묻지 않기로 하면서 다른 은행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인다. 그리고, 금융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중심으로 창립 멤버의 역량과 시장 성장 가능성을 따져본 뒤 투자 결정에 나선다.
한편, 4차 산업 기술 시대에 대응하여 기존 금융 업무와 직원 채용, 경영 전략 영역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혁신을 노리고 있는 시중은행의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