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율 주행으로 "스마트한" 운전 생활
? 고속도로 졸음운전 방지하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매년 졸음운전이 교통사고 발생 원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고속도로 주행 시 피로를 줄여주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가 등장했다.
HDA는 전방 카메라와 레이더로 수집한 정보로 차량을 자동 제어하고, 차선을 인식해 차량이 이탈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변수가 많은 일반 도로에서 사용하기엔 아직 불안정하지만, HDA를 적절히 활용하면 더 편리한 운전이 가능해진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나아가 5G와 딥러닝 기술을 결합한 자율 주차 기술이 등장했다.
5G 자율주차 기술은 주차장 빈 곳을 헤맬 필요 없이 자동차가 스스로 주차 공간을 찾고, 주차하는 기술이다.
테슬라 차량에 터치스크린 기어 셀럭터가 도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버튼이 사라진 미니멀한 디자인, 디스플레이를 통한 다양한 기능 제어가 눈에 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 기어 조작은 안전할까?
2. 4차 산업의 핵심 '블록체인' 파헤치기
?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블록체인', 개념과 발전 전망 살펴보기
블록체인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닌 기술이다. 블록체인의 개념은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을까?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 블록체인의 개념을 잘 몰라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 그리고 비트코인의 열풍과 함께 많은 사람이 블록체인에 주목한다.
블록체인은 정확히 어떤 기술이며, 주요 테크 기업에서는 블록체인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블록체인'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반 시설 부족과 노후화부터 시작해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스마트시티가 등장했다. 많은 지역에서 스마트시티에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는데, 스마트시티는 왜 블록체인을 찾을까?
3. AI로 똑똑해지는 의료 기술
21세기 기술은 인간의 삶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기술을 통해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미국 조지아대학교 연구팀은 시각장애인을 보조할 '인공지능(AI) 배낭 시스템'을 개발했다. AI 배낭은 장착된 카메라로 주변 환경을 포착하고, 분석한 시각 데이터를 이어폰 등 블루투스 기기로 연결해 사용자가 주변 사물을 더 잘 볼 수 있도록 돕는다. AI 배낭 시스템이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을 주는 방법과 해외 매체의 평가를 분석했다.
코로나19 확산세 이후 미국 의료진의 업무 부담 문제가 심각해졌다. 이에, AI를 이용한 분석 프로그램이 CMS 코딩 자동화, 의료 관리 프로그램 품질 보고에 도움을 줄 방안으로 등장했다. AI를 활용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 AI 기반 단백질 생성 ... 의약품 개발 속도 높인다
스웨덴과 리투아니아의 연구팀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을 발견했다. 수백 개의 변종을 검토하고 단백질 생성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작업에 AI를 활용하면 의약품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4. 新 재생에너지·배터리
미국 연구팀이 인체의 땀으로 구동되는 바이오 연료전지와 마찰 전기로 움직이는 구동 장치, 에너지를 저장하는 슈퍼 축전기로 구성된 ‘웨어러블 마이크로 그리드’를 개발했다.
웨어러블 마이크로 그리드는 인체에서 에너지를 수집·저장해 소형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몸에 착용하고 있으면 땀이나 움직임 같은 신체 여러 부분의 에너지를 통합해 저장한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는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장'하는 것도 중요하다. 에너지 저장 기술 중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주목받는 '해수 전지'에 대해 알아보자.
⚡ 정부, 2022년까지 철도에 태양광 발전 시설 짓는다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며 정부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고, 그린 뉴딜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린 뉴딜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정부의 태양광 발전 시설 건설 계획을 살펴보자.
5. 프론트엔드 vs. 백엔드, 차이점은?
?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하면 나도 무조건 개발자 된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면, 무조건 개발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정답은 "아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해도 개발자라고 이야기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발자 직군과 직군별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 알아보자.
? 기업 수요 증가한 백엔드·프론트엔드 개발, 차이점은?
IT업계의 개발자 채용 수요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중, 특히 여러 기업이 많이 찾는 개발 직무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이다. 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 무엇이 다를까?
? 프론트엔드의 핵심 3요소, HTML·CSS·JavaScript
프론트엔드 개발의 3가지 핵심 요소로 HTML, CSS, 자바스크립트가 꼽힌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이 세 가지를 다루는 게 필수적인데, HTML, CSS, 자바스크립트의 역할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