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기차·자율주행차 기업 테슬라는 중국에 기가팩토리를 설립하면서 중국 시장에서 입지를 적극적으로 확보했다. 그러나 현재, 테슬라의 중국 사업이 위기에 직면했다.
중국 군대·국영 기업 직원, 테슬라 차 사용 금지
월스트리트저널, CNBC, 기즈모도 등 복수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일부 국영 기업과 군 관료의 테슬라 차량 사용 금지를 명령했다. 테슬라 차량이 중국의 국가 안보 유출 위협을 제기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중국의 테슬라 차량 구매 제한은 정부가 전기차 제조사 보안 검토 이후 이어졌다. 당시 검토 과정에서 일부 관료가 테스랄 차량의 카메라가 지속해서 사진 및 영상을 기록하면서 차량 사용 기록과 휴대폰 연락처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보안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중국 정부 측은 테슬라 차량에 수집된 데이터가 미국 정부로 전송될 수 있다고 우려하며, 테슬라 차량 구매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JL 워렌 캐패털(JL Warren Capital)의 분석에 따르면, 2021년 1월과 2월, 테슬라의 모델3와 모델Y는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13%를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나서서 테슬라 차량 구매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에 앞으로 테슬라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중국의 우려, 해외 매체의 견해는?
실제로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등 자동화 운전 기능은 타사의 시스템보다 더 많은 카메라에 의존하면서 작동한다. 또, 미국 온라인 테크 매체 기즈모도는 오늘날의 차량 시스템은 개인 정보를 다량으로 수집하기 좋다는 점을 지적하며, 중국 당국의 우려가 근거 없는 우려가 아니라고 분석했다.
이어, 매체는 중국의 테슬라 차량 구매 제한이 미중 정치적 갈등에서 테크 업계가 중심 무대로 떠올랐음을 한 번 더 부각시키는 사례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이 화웨이, ZTE 등 중국의 테크 기업에 제재를 가한 것과 관련, 향후 중국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조처를 할 수도 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