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초, 중, 고등학교에서 코딩 교육이 의무 교육으로 추가됐다.
교육부는 전국 중, 고등학교에서 코딩 교육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부문을 국어나 수학처럼 교과 과정에 포함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2019년부터는 적용 범위를 초등학교로 확대해, 의무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17년도에 입학한 중학생은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이고, 초등학교의 경우 희망 학교에서만 시범적으로 시행한 뒤 정규 교육 과정에 포함되었다. 또, ‘실과’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이 2019학년도부터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으로 내용이 개편되면서 코딩 수업 시간도 17시간 이상으로 늘어났다.
중학교의 선택 과목인 ‘정보’는 2018년부터 필수과목으로 전환돼, 중학생들은 34시간 이상 컴퓨팅 사고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프로그래밍 개발, 간단한 알고리즘 등을 배우고 있다. 고등학교는 2018년부터 ‘정보’ 과목이 심화 선택 과목에서 일반 선택 과목으로 바뀌게 되었다.
코딩 교육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학생들은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융합력, 또래들과의 협력 등 다양한 능력을 종합적으로 기를 수 있어 필수 교육과정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미국, 일본 등 해외 여러 국가도 적극적으로 코딩 의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코딩 교육 의무화가 과연 올바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가?
국내 코딩 교육 의무화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입시 중심 교육 과정의 병폐, 전문 교육 인력의 부족 등 기존 교육의 다양한 문제가 소프트웨어 교육에도 그대로 전이될 위험성이 크다. 특히, 소프트웨어 의무 교육이 시작되는 현재, 전문 인력 부족이 가장 큰 문제로 언급되고 있다.
교육부는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의 30%(6만 명)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고, 이 중에서도 6,000명은 심화 연수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을 채용하는 대신 기존 인력을 통해 교육 인력을 양성할 계획만 두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현재 바뀌는 교육 과정에 필요한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며, 급하게 이뤄지는 인력 양성 과정을 통해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지기 힘들다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환경을 고려하자면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든 환경 속에서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 인재가 탄생할 수 있을까? 장기적인 계획을 두고 추진되어야 할 소프트웨어 의무 교육이 단순한 성과 달성을 위한 주먹구구식 정책에 머물게 되지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단순히 코딩 교육을 강조하는 것만이 해결책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공교육만으로 학생들에게 컴퓨팅 사고 능력을 키워주고, 논리적인 알고리즘을 가르칠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또, 각종 문제와 관련해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요소도 깊이 고민하며,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