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오픈서베이 |
[CWN 조승범 기자] 패션 상품을 구매할 때 10번 중 7번은 에이블리, 무신사 등 온라인 패션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시장조사기관 '오픈서베이'가 전국 만 15∼39세 남녀 소비자 4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담은 'MZ세대 패션 앱 트렌드 리포트 2024'를 발표했다. 여기서 MZ세대는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해 특유의 소비 및 문화 양식을 지닌 연령 집단을 말한다.
오픈서베이에 따르면 전체 평균으로 패션 상품 온라인 구매 비중은 66.9%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여성이 72.4%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이어 30대 여성 71.0%, 10대 여성 65.6%, 20대 남성 65.5%, 10대 남성 62.9% 순이었다.
이들은 패션 쇼핑몰 애플리케이션 평균 2.8개를 이용했다. 20대 여성이 평균 3.8개의 앱을 사용했다. 30대 여성은 3.0개, 10대 여성 2.9개였다. 대체로 10∼30대 여성이 패션 앱 이용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남성도 20대 2.4개, 30대 2.2개, 10대 2.1개 등으로 평균 2개 이상의 앱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별 연평균 구매 빈도를 보면 에이블리가 15.2회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지그재그 14.0회, 무신사가 운영하는 편집숍 29CM 13.0회 등이었다. 무신사는 10.6회였고, 네이버의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은 8.8회를 차지해 5개 앱 중에서 가장 낮은 이용률을 보였다.
무신사와 크림은 남성 전 연령대가 고르게 사용하고 있었다. 에이블리는 10∼20대 여성 이용률이 각각 높았다. 지그재그와 29CM는 20∼30대 여성이 많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크림이 구매 시 지출 비용 18만8300원으로 가장 높은 현금 결제 비용을 보였다. 고가인 유명 브랜드를 한정 판매하는 플랫폼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중저가 패션 플랫폼 중에서는 29CM가 11만2700원으로 1위였고 무신사 9만6900원, 지그재그 6만7200원, 에이블리 5만52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에이블리가 4.04점으로 가장 높았다. 무신사는 4.01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29CM(3.95점)와 지그재그(3.90점), 크림(3.73점) 순으로 나타났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