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 연구팀이 SNS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대학생 230명을 피실험자로 모집해 2주간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피실험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SNS 사용 시간을 1일 30분으로 제한했다. 나머지 집단은 SNS 사용 시간이 별도로 제한되지 않았다.
2주 뒤 SNS 사용 시간을 1일 30분으로 제한한 집단의 불안감과 우울감, 외로움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사용 시간을 제한한 피실험자 집단은 삶의 전망과 관련, ‘흥미로움’, ‘자랑스러움’ 등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등 실험 전보다 미래의 삶을 더 낙관적으로 이야기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학술지 ‘Technology, Mind, and Behavior’에 게재했다.
연구 논문 공동 저자인 엘라 파울하버(Ella Faulhaber) 박사는 “SNS 사용 시간을 줄인 뒤 피실험자의 정신 건강 중 단 한 가지 측면이 아닌 전체적인 측면이 개선된 것이 놀라웠다. 매일 알림을 보내는 간단한 개입으로 사람들이 행동을 바꾸고 소셜 미디어 습관을 개선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기뻤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SNS 사용 제한 시간을 반드시 30분으로 정하지 않더라도 꾸준히 SNS 사용 시간을 줄이는 습관을 들이면서 정신 건강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라며, “완벽해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차이를 만드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과거, SNS 사용 제한 및 절제 효과를 다룬 연구 논문이 여러 편 게재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엄격한 감독과 앱 삭제 또는 소셜 미디어 사용을 차단하는 특수 앱 사용 등과 같은 개입을 권고했다. 반면,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SNS 사용 제한 시간 알림을 자동으로 보내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