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기에 QR코드 사용이 급격히 증가했다.
평소에 로그인이나 스마트폰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만 사용하던 QR코드는 코로나로 인해 매장 내 메뉴판에서도 볼 수 있고, 본인 인증 코드, 모바일 자가 진단서 작성, 물건의 사용 설명서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그런데, QR코드는 무엇일까? QR 코드는 1994년, 덴소 웨이브가 개발했다. 가로, 세로가 있는 2차원 코드인 QR코드는 한 줄로 되어있던 기존 바코드보다 약 360배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 속에 편리함을 주는 QR코드. 무조건 안전하다고 생각해도 괜찮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절대로 아니다.
많은 사용자가 알고 있다시피 QR코드를 이용해서 URL을 열 수도 있다. 많은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낯선 URL에 접속하는 것을 꺼리지만, QR코드를 이용한 URL 접속은 크게 의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악용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자동으로 금전 결제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없을까?
QR코드를 악용한 피싱 피해를 예방하려면, 먼저 QR코드의 출처가 명확한지 확인해야 한다. 또, 일회성 코드가 아닌 종이에 인쇄된 코드일수록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이 점도 유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