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시내에서 배달 노동자가 오토바이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CWN 조승범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배달 플랫폼 3사를 한자리에 불러 모았다. 이 자리에서 외식업계 소상공인들이 음식 배달 앱 수수료 부담에 대해 성토하고 있는 상황을 심각히 여기고, 플랫폼 3사에 상생방안 도출을 주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농식품부와 배달업계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지난달 28일 서울 양재동에서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관계자와 만나 배달앱 수수료 가격 부담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농식품부는 해당 플랫폼 3사에 외식업계 소상공인과의 상생방안 마련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배달업계 관계자는 CWN에 “정부 간담회에서 어떤 얘기가 오갔는지 언급하는 것은 어렵고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장에서 추가 상생 방안에 대해 특별히 나온 얘기가 없다”고 했다.
앞서 치킨 프랜차이즈 점주 대표들은 지난 4월 입장문을 통해 배달 앱 수수료가 너무 비싸 인건비도 제대로 나오지 않을 때도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달 17일 외식업계·소상공인 간담회에서 배달 앱 수수료 부담 완화가 필요하다는 건의에 대해 “배달 앱 문제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한 바 있다.
정부 차원에서 배달 앱 수수료 부담에 대한 지속적인 주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었다.
배민은 ‘무료 배달’ 가게가 되려면 판매액의 6.8%(부가세 별도)를 중개 수수료로 내는 ‘배민1플러스’에 가입해야 한다. 배민1플러스는 매출이 증가할수록 배민에 지급하는 수수료도 늘어난다. 업주가 부담하는 배달요금(2500∼3300원)이나 결제 수수료(1.5∼3%)는 별도다.
쿠팡이츠도 ‘무료 배달’ 가게는 9.8%의 수수료(부가세 별도)인 ‘스마트 요금제’에 들어야 한다. 업주 부담 배달요금은 2900원이며 결제 수수료는 3% 붙는다.
농식품부는 한국외식산업협회·한국외식업중앙회·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 3개 협회로부터 건의를 받고 있다. 이를 통해 업계 의견을 수렴한 뒤 배달 플랫폼과 소통하며 상생안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