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달러 패권 저항위해 의도적 금 매입 해석도
[CWN 최준규 기자] 자고나면 천정부지로 치솟는 금값에 곧 2400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같은 금값 상승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에 미 달러와 대체 관계인 금값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이에 중국 정부의 금 사재기와 부동산과 증시 침체에 투자처를 잃은 중국 자본의 금 투자로 몰린다는 해석도 있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2382달러에 거래됐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금값은 신고가를 연신 경신 중이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금 1돈(3.75g) 가격이 2월 말 37만원에서 최근 43만원까지 올랐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국제 금 시세가 조만간 온스당 2400달러를 웃돌 것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덴마크 삭소방크는 보고서에서 금 가격이 조만간 온스당 2400달러 수준을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씨티은행은 연말 금값을 온스당 2500달러를 넘고 앞으로 6~18개월 이내 300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최근 금값이 치솟는 것은 중동 분쟁과 함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정세 불안에 높아진 안전자산 선호와 미국이 연내 금리 인하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점에서 달러값 하락이 예상된다는 점이 반영된 것이다. 이와함께 화폐 가치 하락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금 매입으로 헷지(위험 분산)에 팔걷고 나서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글로벌 각국은 앞다퉈 금 매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각국 중앙은행이 작년에 매입한 금은 총 1037t에 이르는데 이는 2년 전(1082t)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주목할 점은 중국의 금 사들이기다. 인민은행은 작년에 글로벌 각국 중앙은행이 사들인 전체 금의 4분의 1 규모인225t을 매입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통계를 공개한 1977년 이후 최고치죠. 이에따라 중국의 금 보유량은 2022년 10월 말 1948t에서 올해 3월에는 2262t으로 대폭 늘었다.
이같은 중국의 금 매입 배경에는 투자 상품으로 금이 달러보다 매력이 높아졌다는 점도 있지만 최근 과도한 금 매입을 모두 설명하진 못한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달러 패권에 저항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금을 매입하고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또한 중국이 금 보유를 늘려 달러값 변동에 대비하고 미국의 영향력 견제에 나섰다는 시각도 있으며 최근 미국과의 갈등이 높아지면서 달러 패권으로부터의 독립은 더 시급한 과제가 됐다.
CWN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