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대 회동...법사위·운영위·과방위 위원장 배분 놓고 대치
![]() |
▲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양당 원내대표 회동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CWN 주진 기자] 국회는 5일 오후 22대 국회 첫 본회의를 열고 전반기 국회의장단을 뽑는다. 이날은 국회법에 규정된 의장단 선출 시한이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지난 주말까지도 개원 협상을 시도했으나, 법제사법위원장, 운영위원장,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등 상임위 배분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합의는 불발됐다.
추경호 국민의힘·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오전 10시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만나 원 구성 등 협상에 '담판'을 시도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국민의힘은 야당의 일방적인 의사일정에 반발하고 하며 '본회의 보이콧'을 예고해 이날 22대 국회 첫 본회의는 ‘반쪽 본회의’가 될 가능성이 높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전날 "6월 5일 (본회의와) 7일 (원 구성 협상 시한은) 강행규정이 아니고 훈시적 조항"이라며 여야 대화와 합의에 기초해 국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국회법이 정한 대로 개원해야 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법이 관례보다 더 중요하다. 그리고 더 우선이다"라며 단독 개원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2시 본회의에서 예정대로 우원식 의장·이학영 부의장 선출을 표결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여당 몫 부의장 후보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본회의 진행은 국회법에 따라 출석 의원 중 '최다선·최고령'인 추미애 의원이 맡는다.
원 구성에 끝내 합의하지 못할 경우 과반 의석을 가진 민주당은 국회법에 따라 7일 본회의 단독 표결을 통한 상임위원장 배분을 강행할 수도 있다는 태세다.
이처럼 여야 간 원 구성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결국 22대 국회도 ‘지각 국회’라는 오명을 쓸 것으로 보인다. 21대 국회는 여야의 대치로 임기 시작 47일 만인 7월 16일 개원식을 했고 당시 민주당은 첫 원 구성에서 상임위원장을 모두 차지했다.
한편, 여야 의원들은 이날 본회의에서는 최초 본회의 의석배정 관례에 따라 국회 사무처가 마련한 '22대 국회 최초 집회 의석표'에 맞춰 지역별로 나눠 앉게 된다.
의석표는 공직선거법에 따른 '국회의원 지역 선거구 구역표'의 선거구 순서대로 배치된다. 국회의장석을 바라볼 때 가장 오른쪽부터 서울 종로구~제주 서귀포까지 배치가 된다. 이 때문에 각 지역구의 여야 의원들이 섞여 앉은 모습이 곳곳에서 보일 예정이다.
비례대표의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공고한 비례대표의원 당선인 명단 순서대로 앉는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국민의미래 등 비례대표 의원들은 왼쪽 편으로 배치됐다.
이날 의장이 선출된 이후에는 법에 따라 국회의장과 양당 원내대표 협의를 통해 좌석 배치를 결정한다. 원내 1당인 민주당이 중앙, 2당인 국민의힘이 오른쪽, 제3지대 당들은 왼쪽으로 모여 배치될 예정이다.
CWN 주진 기자
jj7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