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울산시가 교통약자와 보행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지능형(스마트) 횡단보도 체계(시스템)’시범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실증사업과 함께 구축되는 스마트 횡단보도는 도로 위의 위험 상황을 인공지능 기반 CCTV가 즉각 감지하고 차량 접근정보, 보행자 횡단 등의 정보를 전광판, 스피커, 경광등 등으로 알려주며 사고를 예방하려는 취지로 개발되었다.
시스템에 적용된 영상 연산방식(알고리즘)은 휠체어나 보조 장비를 사용하는 교통약자를 판별한다. 이를 바으로 주어진 보행 신호 시간 내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한 이들이 보행 신호를 연장하며, 안전한 보행을 돕는다.
C-ITS는 안전 운전과 실시간 보행자, 차량 위체 데이터 공유 기반 실시간 자율주행, 교통체증 완화 등의 장점이 있어, 갈수록 개발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현대오토에버의 사례를 언급할 수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2017년에 경기도 화성의 자율주행 실험도시(K-City)에 C-ITS 도로 환경,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통합평가 및 관제 시스템 구축과 함께 자율주행 시스템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어 2021년 시행된 ‘새만금 상용차 자율주행 시험 인프라’와 ‘대구 자율주행 시험 인프라’ 구축 사업을 잇달아 맡으며 안전한 자율주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C-ITS 도입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한계도 분명히 존재한다. 먼저, 탑승자가 통신 기능이 장착된 완전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해야 C-ITS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다. 게다가 차량 통신도 5G 네트워크 기반으로 지원돼야 하나 이를 모두 갖춘 자율주행 차량이 아직 보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C-ITS의 장점을 완벽히 누리기에는 아직 한계가 명확하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