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이란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뜻한다.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그렇다면 좋은 코드와 나쁜 코드는 무엇일까?
많은 개발자가 자신의 코드를 깃허브라는 공간에 공유한다.
좋은 코드란 코드 작성자만 이해할 수 있는 코드가 아닌 이 코드를 보는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코드를 의미하며, 간단하고 단순하게 작성된 코드며 수정이 쉬운 코드이다. 다른 말로 클린 코드라고 한다.
나쁜 코드란 좋은 코드와 반대 개념인데 보통 코드가 복잡하고 읽기 어렵고 한눈에 보기 어려운 코드를 말한다. 가장 큰 문제는 코드 수정이 어려운 코드이다.
어떻게 작성 해야 클린 코드가 될 수 있을까? 클린 코드 작성법을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명한다.
1. 가독성
자신만 이해할 수 있는 코드는 좋은 코드가 아니다. 다른 사람이 보더라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한 코드가 클린 코드다.
클린 코드 작성을 위해 들여 쓰기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
관련 기사: 코딩,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규칙은?
2. 코드 중복 최소화 단순성
코드가 반복되는 부분이 많으면 코드가 읽기 어려워지며 프로그램이 반복하는 부분이 많아서 프로그램이 느려지거나 오류가 생기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앞으로는 클린 코드의 작성 방법을 지키면서 코드를 작성하면 코드를 만든 작성자 뿐만 아니라 다른 개발자들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