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의 사전적 의미는 인간의 학습과 추론, 지각과 이해능력 등을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을 뜻한다. 즉, 어떠한 상황에 있어서 단순히 기계적인 반응이 아니라 '인간처럼'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산업, 특히 현대 기술의 발전에 있어서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우리 일상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AI 기술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주목해볼 만한 사례로 AI 기술이 CCTV에 도입된 사례를 볼 수 있다. 기존 보안 카메라는 단순히 화면 픽셀의 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즉, 단순히 화면이 바뀌었다는 수동적인 인식을 할 뿐, 무언가의 침입 또는 이동이 있다는 정도의 판단까지는 도달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AI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인간처럼 상황을 판단하여 정확한 상황 식별과 판단으로 상황에 따라 경보를 울려 보안 담당자가 조금 더 효율적인 시간 사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보안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인공지능 CCTV의 도입율은 10% 미만이다. 그에 비해 2000년대 후반, 2010년대에 주로 사용되었던 아날로그 카메라와 IP 카메라의 설치 비율은 각 40% 이상으로 아직도 국내에서 대다수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 인공지능 CCTV 도입은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향후 보안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에서는 정부 및 지자체 주도로 인공지능 CCTV의 도입이 더욱 활발해지리라 예상한다. 특히, 교통상황을 분석하여 각 혼잡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처를 하는 기술의 관심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향후 인공지능 CCTV의 도입이 활발해짐에 따라 더욱 주목받고 있는 기술적인 부분은 '식별의 정확성'이다. 작은 나뭇잎, 또는 단순히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기존의 CCTV는 픽셀 단위로 변화를 감지했기 때문에 잦은 오경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인공지능 CCTV의 경우 인간처럼 상황을 판단하기 때문에 더 유의미한 정보만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는 보안 관리자의 시간과 인적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 외에도 딥러닝을 통해 더욱 다양한 상황대처가 용이하도록 하는 방면 또한 향후 기술 도입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