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관리에 있어 인간보다 인공지능(AI)이 더 신뢰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6일, 오라클은 전 세계 14개국 9천 명 이상의 기업 경영진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재무관리의 인식변화와 금융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 때문에 기업 경영진 사이에서 재정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186%, 우울감이 116% 증가했다. 더불어 소비자의 재정적 불안과 스트레스 또한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재정적 불확실성은 재무관리 영역에서 사람들이 신뢰하는 대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복잡한 재정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AI가 금융자산 관리의 주체로 떠오를 수 있게 되었다고 오라클 측은 설명을 덧붙였다.

기업 경영진의 67%는 “재무관리 영역에서 인간보다 AI를 신뢰한다”고 답했다. 기업 경영진의 73%는 스스로의 판단보다 AI를 신뢰하며, 77%는 자체 재무팀보다도 AI를 믿는다고 밝혔다. 소비자는 53%가 자기 자신의 판단보다 AI의 판단이 옳다고 생각하며, 63%는 개인 자산 상담사보다 더 정확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실제 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51%는 이미 재무관리에 AI를 활용하고 있었다. 기업 경영진은 AI의 발전이 인력 구조에 미치는 재편 가능성도 내다봤다. 10명 중 9명의 수준이 AI가 재무관리를 대체할 수 있다고 평가했고, 과반수 이상이 향후 5년 내 AI가 전문가를 대체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재무 분야에서 AI가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으로는 재무 승인, 예산 수립 및 예측, 위험 관리 등 정확성과 신속성을 요구하는 업무를 꼽았다.
오라클 클라우드 비즈니스사업부 수석부사장 유르겐 린드너는 “코로나 19가 가정과 기업 조직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했다”며 “경쟁사에 뒤처지거나, 직원 생산성 및 복지가 저해되는 경영 위기에 당면하지 않도록 기업 조직은 디지털 혁신의 흐름에 빠르게 올라타고, AI 활용 역량을 갖춘 금융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전념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