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소스 패키지에 ‘순환 재활용 페트’ 기술 개발도
![]() |
▲ 오뚜기는 지난해 8월 진라면 2종에 대해 환경성적표지(1단계) 인증을 획득하고 친환경 ‘플렉소’ 인쇄 방식을 도입하는 등 친환경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오뚜기 |
[CWN 조승범 기자] 오뚜기가 ‘환경의 날’을 맞아, 친환경 제품 기준을 △환경 인증 제품 △친환경 포장 적용 제품 △친환경 컨셉 제품으로 정의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제품 개발을 통해 ESG 경영에 앞장서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오뚜기는 환경 인증 분야에서 진라면 2종에 대해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대한 환경적 영향을 명확한 수치로 평가하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았다. 또한 친환경 포장에 있어서는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플렉소’ 인쇄를 도입했다.
우선 오뚜기는 지난해 8월 진라면 2종(순한맛·매운맛)에 대한 전 과정 평가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심사를 통해 환경성적표지(1단계) 인증을 획득했다.
환경성적표지는 제품의 원료, 수급, 제조, 포장, 운송, 사용, 폐기 등 제품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7대 영향을 △자원 발자국 △탄소발자국 △물발자국 △오존층 영향 △산성비 △부영양화 △광화학 스모그로 정의하고 환경적 영향을 측정해 수치화하며, 이를 개선해 나가는 접근법이다.
오뚜기는 해당 제품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해 2025년 3월까지 저탄소 제품(2단계) 인증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뚜기 관계자는 “이번 진라면의 환경성적표지인증은 제품에 대한 환경에의 영향을 수치화하고 이를 통해 환경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오뚜기 의지가 드러난 것”이라며 “향후 라면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제품에 대해서도 환경성적표지(1단계) 인증, 더 나아가 저탄소 제품(2단계) 인증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뚜기는 친환경 포장재도 ‘녹색인증’을 받았다. 오뚜기의 포장재 공급망은 롤포, 스파우트팩 밥 리드에 에탄올 잉크를 적용한 친환경 인쇄다. ESG 경영의 일환으로 2020년 12월 ‘녹색 인증’을 취득했으며, 2022년 녹색기술제품 인증을 받은 녹색인증 포장재를 적용한 ‘육류양념장’을 선보였다.
녹색인증 포장재는 수성 잉크 및 접착제를 사용해 기존 포장재 대비 환경독성물질을 줄이고 유해성을 저감했다. 또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오뚜기는 식품 포장재 전문 기업인 풍림P&P를 통해 친환경 플렉소 인쇄 도입 등 탄소중립을 실천해 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당 기술을 인정받아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녹색기술 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
포장재도 친환경성을 더한 인쇄로 전환을 꾀하며, 친환경 포장재 적용에 힘쓰고 있다. 대표 사례가 친환경 ‘플렉소’ 인쇄 설비로 제조한 포장재다. 2022년 오뚜기는 국내 라면 업계 최초로 플렉소 인쇄 설비로 제조한 친환경 포장재를 적용했으며, 진라면(봉지면) 매운맛과 순한맛을 비롯해 케첩, 마요네즈 등 12개 제품에 적용, 생산 중이다.
100% 재활용 가능한 순환 재활용 페트를 제품에 적용하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오뚜기는 SK케미칼과 육류소스 패키지에 ‘순환 재활용 페트’를 공동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순환 재활용’은 폐플라스틱을 분자 단위로 분해한 뒤 다시 원료로 만들어 사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식으로, 연간 플라스틱 사용량을 약 16톤 줄일 수 있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