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아파트 1~5월 매매거래 분석 자료. 사진=직방 |
[CWN 손현석 기자] 올해 서울 아파트 10채 중 6채는 전고점 대비 80% 이상 회복된 가격에 매매된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직방에 따르면 지난 1∼5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매매거래 분석 결과 아파트 전체 1만4810건 중 전고점의 80% 이상 가격에 거래된 건수는 8939건으로 60.4%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가격대별로 보면 종전 최고가에 비해 높거나 같은 100% 이상 가격에 거래된 비중이 9.3%였다. 또한 90% 이상∼100% 미만은 14.5%, 80% 이상∼90% 미만은 36.6%로 확인됐다.
월별로 살펴보면 1월에는 80% 이상 가격에 거래된 비중이 54.5%에 그쳤지만 2월 57.2%, 3월 59.1%, 4월 63.5%. 5월 66%로 매월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대해 직방 측은 최근의 거래량 회복 추세와 함께 거래 가격도 전고점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거래가 80% 이상을 회복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곳은 서초구(90.2%)였다. 이어 용산구(86.1%), 강남구(84.9%), 종로구(82.2%), 마포구(79.8%), 성동구(75%), 중구(73.2%), 양천구(72.9%), 영등포구(72.9%), 송파구(71.8%), 동작구(70.5%), 광진구(70.4%) 순이었다.
특히 종로구와 용산구는 종전 가격보다 비싸거나 같은 가격의 거래 비중이 각각 27.7%, 23.9%로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반면 노원구(22.1%)를 비롯해 도봉구(26.2%), 강북구(30.2%), 성북구(42.6%), 관악구(43%), 금천구(48.7%), 구로구(49.7%) 등도 전고점 대비 80% 이상 회복한 거래 비중이 낮았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리드는 “올해 저리 대출 등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회복하며 서울 아파트값이 일부 전고점 수준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물가 상방 압력에 따른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지방 미분양 증가, 경기 불안 등의 주택 수요 유입을 제한하는 요소도 상존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시장은 강보합 흐름이 유지되며 입지별 수요 쏠림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