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 사업구조 전환 지속하며 사업 한계돌파에 집중

[CWN 지난 기자]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3년 연속 최대 실적을 올렸다.
LG전자는 연결기준 매출액 84조2278억원, 영업이익 3조5491억원의 2023년도 확정실적을 25일 발표했다. 연간 매출액은 사상 최대이며, 3년 연속 최대치를 경신했다.
글로벌 경기침체, 수요감소 등 어려운 외부환경 속에서도 실적을 올려 주목받고 있다. 특히 캐시카우(현금창출원) 사업인 생활가전과 미래 성장사업에 해당하는 전장(차량 전기장치)이 각각 8년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LG전자의 생활가전과 전장 사업을 합친 매출 규모는 8년 전 18조원 수준에서 지난해 40조원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두 사업이 연결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5%에서 47.8%까지 올라갔다.
LG전자는 “지난해 시장 변곡점을 조기에 포착해 냉난방공조 등 B2B(기업간 거래) 사업을 확대하고 기존 사업에 구독 등 새로운 모델을 접목하는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통한 성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올해도 미래지향적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일관되게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한 해외영업본부 주도로, 큰 신흥시장에서의 추가 성장과 시장 내 제품 커버리지 확대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는 30조139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8년 연속 성장해 30조원 시대를 열었다. 가전에 구독 등 새로운 사업모델을 도입하는 시도가 주요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6% 이상 늘어난 2조78억원을 기록했다.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지난해 매출액 10조1476억원, 영업이익 1334억원을 거뒀다. 본부 출범 10년 만에 매출액 10조원을 넘겼고, 전체 연결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까지 올라갔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는 지난해 매출액 14조2328억원, 영업이익 362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늘었지만, 연간 매출액은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가 더디게 회복되는 가운데 소폭 줄었다.
B2B 솔루션 사업을 담당하는 BS사업본부는 지난해 매출액 5조4120억원, 영업손실 417억원로 부진했다. 로봇, 전기차 충전기 사업 등 미래성장을 위한 투자로 인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CWN 지난 기자
qaz@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