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기 GTX’ 본격화…연내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선정

[CWN 우승준 기자]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비전을 내건 정부의 보폭이 더욱 빨라질 예정이다. 정부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B·C 기존 노선을 연장하고 신규 노선인 D·E·F는 신설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 ‘GTX 2기 사업’에 시동을 건 것이다.
정부는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대통령 주재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를 열고 ‘교통분야 3대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교통분야 혁신전략은 정부가 꺼낸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비전을 담당하는 큰 축으로 해석 가능하다.
정부는 ‘출퇴근 30분 시대’ 실현을 위해 GTX 사업 최초로 A노선 수서~동탄 구간을 오는 3월 개통한다. 이어 ‘파주 운정~서울역 구간’을 연내 개통하는 등 오는 2028년까지 순차 개통을 완료할 계획이다.
정부는 GTX B·C노선도 연초부터 즉시 착공하고 적기 개통을 위해 공정을 차질없이 관리하는 등 본격적으로 수도권 GTX 시대를 열 예정이다. B노선은 오는 2030년, C노선은 오는 2028년 각각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 D·E·F 노선은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에 전체 노선을 함께 반영해 속도감 있는 사업을 위해 구간별(1-2단계) 개통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를 광역급행철도 선도사업(가칭 CTX)으로 선정·추진한다.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 다른 권역에 대해서도 지자체와 협의해 급행철도로 추진이 가능한 노선을 적극 발굴해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연장선상으로 정부는 공간혁신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이달 공포된 철도지하화특별법 시행에 맞춰 하위법령을 마련하고 지하화 종합계획을 수립해 ‘철도·도로 지하화’ 기반을 마련한다.
정부는 고속도로 정체 문제의 개선을 위해 지하 고속도로 사업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수도권제1순환(서창~김포, 민자) △경부(용인~서울) △경인(인천~서울)은 사업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오는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착공이 추진된다.
CWN 우승준 기자
dn1114@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