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WN 우승준 기자] 정부는 오는 2047년까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이 622조원을 투입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에 지원 강화를 예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 주제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관련) 1차적으로 예상하기에 622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반도체 클러스트 조성은) 이미 시작됐고 20년에 걸쳐서 최소한 양질의 일자리가 300만개는 새로 생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당장 올해부터 향후 5년간 158조원이 투자되고 직간접적인 일자리는 95만개가 새롭게 만들어진다”며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설계 디자인 부품 소재 분야 협력기업 매출도 200조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벌써 클러스터에서 사업적인 기회를 찾기 위해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몰려들고 있다”고도 했다.
정부에 따르면,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경기도 남부권에 구축된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하반기 발표한 반도체 비전(메가 클러스터가 화성·용인·평택·이천·안성·성남 판교·수원 등 경기 남부에 밀집된 반도체 기업·기관을 한데 아우르는 개념)의 연장선상이다. 해당 클러스터 건설로 650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인프라·투자 환경·인재 확보 등을 전면 지원할 것이라는 게 정부 측 전언이다.
윤 대통령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강조한 메가 클러스터는 한층 구체화하기도 했다. 19개 생산 팹과 2개 연구 팹이 가동 중인 메가 클러스터에 올해부터 2047년까지 622조원의 민간투자를 투입해 총 16개 팹을 새롭게 구축하는 방향을 설정했다.
한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가 클러스트의 핵심 투자기업으로 통한다. 두 기업은 용인 남사·원삼에 각각 360조원·122조원을 투자했다. 또 삼성전자는 고덕 반도체 캠퍼스 증설에 120조원, 기흥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 단지 증설에 20조원을 추가 투자했다.
CWN 우승준 기자
dn1114@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