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별 맞춤형 솔루션 제안하는 ‘Custom Memory Platform’ 계획 발표
기술·고객·생산기지(용인) 완결한 ‘토털 AI 메모리 프로바이더’ 미래 비전 공개

[CWN 지난 기자] "인공지능(AI) 시대에 메모리가 나아가야 할 지향점은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고객에게 특화된 AI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고객맞춤형 메모리 플랫폼’을 선보이겠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AI(인공지능)의 원동력 메모리반도체(Memory, The Power of AI)’를 주제로 미디어 컨퍼런스를 진행하며 이렇게 밝혔다.
이날 곽 사장은 주요 내외신 기자들과 함께한 자리에서 “앞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이 보편화되면서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회사는 세계 최고 기술력에 기반한 제품들을 ICT 산업에 공급, ‘메모리 센트릭 AI 시대’를 이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곽 사장은 “AI 시스템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메모리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이 다변화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각 고객에게 특화된 AI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맞춤형 메모리 플랫폼’을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어떤 고객에게는 용량과 전력 효율이 중요할 수 있고, 또 다른 고객은 대역폭과 정보처리 기능을 선호할 수 있다”며 “이런 요구에 대응하고자 SK하이닉스만의 고객 맞춤형 메모리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곽 사장은 “이는 회사의 AI 메모리 기술력과 연구개발(R&D) 역량을 각 고객 요구와 최적으로 융합하기 위한 플랫폼”이라며 “이를 통해 기존 방식을 넘어 새로운 가치를 선보이고, 각 고객에게 특화된 최적의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 용인 415만㎡ 부지에 120조원 이상을 투자해 신규 메모리 생산기지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계획도 소개했다. 이어 “기존 고객 수요를 넘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AI 시대에 세계 최고 메모리를 적기에 공급하겠다”고 덧붙였다.
CWN 지난 기자
qaz@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