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GS·현대·신세계… 한신평, 모니터링 필요 건설사로 지목

[CWN 우승준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문제를 직면했던 태영건설이 28일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한 가운데, 그간 수천억원대 대출을 제공한 금융계를 비롯해 일부 건설·증권계가 그 후폭풍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아파트 브랜드 ‘데시앙’을 보유한 시공능력 16위로 평가받는 태영건설은 이날 긴급이사회를 열고 워크아웃 신청 결정을 내렸다. 워크아웃은 채권단 75% 이상이 동의할 경우 기업 채무조정 및 신규자금 지원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제도다.
태영건설은 서울 성동구 성수동 오피스2 개발사업과 관련한 약 480억원 PF 대출이 만기된 실정이지만 대주단은 기한 연장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이달 만기가 돌아오는 태영건설의 대출 규모는 약 3956억원이다. 내년 만기되는 우발채무 규모는 약 3조6000억원이다.
태영건설은 입장문에서 “워크아웃은 기업의 경영활동을 유지하면서 정상화를 도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하루빨리 경영정상화를 이루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워크아웃 절차를 성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장선상으로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와 관련해 ‘부동산PF 부실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는 건설업계 전반에 자금을 조달한 금융권의 여신건전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5일 ‘건설:점증하는 PF·유동성 리스크, 재무적 대응력이 필요한 시점’ 보고서에 태영건설을 비롯해 롯데건설··GS건설·HDC현대산업개발·신세계건설 등을 모니터링 요소가 있는 업체로 지목했다.
또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잔액은 3분기말 134조3000억원이다. 이는 전분기 대비 1조2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대출 연체율도 2,42%로 0.24%포인트 늘었다.
이에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같은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대응방안’ 브리핑을 통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과 관련해 이미 준비된 계획에 따라 대응을 해나갈 것”이라며 “불안심리에 따른 시장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이미 마련돼 있는 시장 안정 조치를 즉각 가동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서 그 규모와 내용도 대폭 확대·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향후 금융위는 관계기관과 함께 태영건설의 PF사업장・협력업체・수분양자 현황을 바탕으로 신속한 대응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정상진행에 어려운 사업장은 시공사교체‧재구조화‧매각 등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도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에 바쁜 움직임을 보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한 통신사와의 통화에서 “정부는 그동안 ‘F4 회의’ 등을 통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해왔다”며 “리스크 관리와 함께 시장 안정을 위한 가능한 모든 조치들을 취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지속된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 등에 따라 부동산 등 건설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해왔으며 주요 건설사 상황도 지속해 점검해왔다”며 “앞으로 건설사가 워크아웃 절차에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워크아웃은 신청기업뿐 아니라 금융회사, 협력업체 등에도 유리하며 경제적, 사회적 비용이 적게 들게 돼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고 했다.
한편 시공능력 20위권 대형건설업체가 워크아웃 절차를 밟은 것은 지난 2006년 대우건설과 2013년 쌍용건설 후 10년만의 일이다. 태영건설은 방송사 SBS를 소유한 태영그룹의 모태 기업이기도 하다.
CWN 우승준 기자
dn1114@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