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에너지 상승·근원 물가 상승 계속 압력

[CWN 최준규 기자] 올해와 내년 한국 물가상승률은 기존보다 0.3%p씩 상향 조정해 물가 불안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아시아개발은행(ADB)가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아시아 경제전망'을 13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49개국 중 일본, 호주, 뉴질랜드를 제외한 46개국의 성장률을 분석했다.
올해 한국 경제가 지난 7월과 9월에 이어 이번에도 1.3% 성장할 것으로 ADB가 예측했다. 또 내년 성장률도 기존 전망과 같은 2.2%를 유지했다.
한국 경제가 수출 회복 등 상방요인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 하방요인이 혼재한 것으로 봤다.
이번 ADB의 예측은 국내외 주요 기관과 견줘볼때 비교적 보수적이다. 정부와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비롯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올해 ADB 전망보다 높은 1.4%로 예측했고 내년 성장률은 기관별로 엇갈리는 가운데 정부(2.4%), OECD(2.3%)보다 낮고, IMF·KDI와 동일하지만 한국은행(2.1%)보다는 높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최근 4개월간 지속되는 3%대 고물가 등을 반영해 9월 전망(3.3%) 대비 0.3%p 상향 조정한 3.6%로 전망했다. 또한 내년 물가 상승률도 2.5%로, 기존 전망 대비 0.3%p 하향 조정했다. 이는 글로벌 에너지 가격과 식품가격 상승과 함께 근원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된 여파를 반영했다고 진단했다.
한편 ADB는 향후 아시아 지역 위험요인으로 선진국의 통화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엘니뇨와 일부지역 식량수출 규제, 중국 부동산시장 등을 들었다.
CWN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