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산학연구센터 중 하나인 LG-KAIST 6세대 이동통신(6G) 연구센터가 이동통신용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넓은 대역폭에서도 손실이 적은 빔포밍(Beamforming·전파를 한 곳으로 모아 집중 전송하는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조선비즈에 따르면, 테라헤르츠 대역은 100기가헤르츠(㎓)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6G의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국내 통신 사업자에 할당된 5세대 이동통신(5G) 밀리미터파 대역폭(26.5~28.9㎓)인 2.4㎓ 대비 11배가 넘는 확장된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수준이다. LG-KAIST 6G 연구센터는 2년 반의 원천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테라헤르츠 주파수 영역인 143~170㎓ 사이 27㎓ 대역폭에서 신호 손실이 적은 빔포밍 솔루션(송·수신 시스템)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신호 전달 효율을 기존 기술 대비 4.2배 높이고, 이동통신에 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빔 각도를 조절하는 등 가변화 성능도 확인했다고 연구센터 측은 밝혔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