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은 컴퓨터 공학 혹은 컴퓨터 과학(Computer Science Engineering)에서 문제를 푸는 방식을 알려주는 설명서이다. 초기 입력과 상태에서 시작해서 일련의 명령을 수행해 출력을 내보내고, 최종 상태에서 종료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문제를 푸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프로그램에만 관련된 것은 아니다. 우리의 일상적 행동도 알고리즘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사람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역시 알고리즘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구글 알고리즘’, ‘유튜브 알고리즘’이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데, 이런 알고리즘은 어떤 원리로 내가 원하는 정보를 한 번에 보여주는 것일까?
실제로 구글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 쉽게 찾게 도움을 주기 위해 검색 순위 시스템을 도입했다. 시간이 갈수록 인터넷상의 정보가 많아지고 있어, 구글은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검색 순위를 제공한다. 검색순위를 제공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검색어의 특정 단어를 분석한다. 구체적인 정보를 원하는지, 아니면 넓은 범위의 정보를 원하는지 파악한다. 또한, 최신 트렌드에 맞게 특정 순위 혹은 현재 주식 정보 등 검색 의도에 맞는 정보를 제공한다.
2. 검색어와 연관성이 높은 페이지를 찾는다. 특정 키워드를 포함한 페이지를 중심으로 사진, 동영상과 같은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연관 검색어가 해당 페이지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3. 해당 웹페이지가 사용자 친화적인지 판단한다. 웹사이트의 속도, 모바일이나 태블릿 화면에 맞게 변화하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 반응형으로 사이트를 만들어야 한다.
4. 위치나 기존 검색기록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맞는 페이지를 보여준다. 기존 검색기록을 제외하여 검색하고 싶다면, 크롬의 incognito 모드를 사용하면 된다. (윈도우 기준으로 Ctrl Shift N버튼을 누르면 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