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지날수록 데이터의 양은 무수히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중복성이나 종속성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DBMS가 사용된다. 쉽게 말해, DBMS는 중복되는 데이터를 없애면서 구조적으로 데이터 자료에 편하게 접근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DBMS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효율을 높이고, 접근 시간을 단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데이터 보안 역할을 하기도 하며,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DBMS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중요한 존재이다. DBMS는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의 3계층 스키마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DBMS는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와 하나의 개념 스키마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념 스키마에 대한 저장구조가 바로 내부 스키마이다.
그러나 DBMS는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매우 복잡하며, 운영비가 부담스럽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단점을 극복한다면 충분히 좋은 시스템으로 더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