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이란 http 프로토콜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으로서 http에 ssl 프로토콜을 접목시켜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와 방문한 사이트 간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유지시켜주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크롬은 지금까지 암호화가 되지 않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이트에 대해 ‘안전하지 않음’ 또는 ‘보안’ 표시를 사용했다. 이렇게 사이트 주소에 자물쇠 모양이 걸려있는지, 그리고 암호화가 설정되어었는지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는 https 사이트 접속을 위해 http를 사용한 후, https를 재시도해야 한다.
2021년 4월 출시되는 크롬의 차기 버전 90은 암호화여부 메시지박스 대신 주소 표시줄에 https:// 를 기본값으로 사용해 보안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즉, 사용자가 주소창에 프로토콜 지정 없이 url을 입력하면 http라는 중간다리 없이 바로 https를 기본값으로 채택해 이동한다는 것이다.

위 gif와 같이 크롬90은 초기 로딩 후 리디렉션 루프를 끊어 https를 지원하는 사이트의 로딩속도를 향상시켜준다.
W3Tech에 따르면, 현재 이미 웹사이트의 82.2%가 유효한 SSL 인증서를 제공하고 있어 https를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웹사이트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크롬90을 통해 속도 향상과 더불어 웹사이트의 정보를 공격자가 가로채기 또는 수정을 더욱이 어렵게 만든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