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가 인간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업은 2016년,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분야 스타트업 '뉴럴링크'이다.
그렇다면, 뉴럴링크는 왜 이러한 프로젝트를 하는 것일까? 일론 머스크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AI)에 대비하기 위해 인간과 컴퓨터의 결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공지능의 발전이 인간에게 위협이 될 수도 있다고 보기 때문에, 오히려 인간이 컴퓨터와 연결된다면 AI와 공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현재 뉴럴링크는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제어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 질환을 고치고, 텔레파시를 주고받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미 지난해 8월에는 돼지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실험에서 칩을 통해 돼지의 뇌에 전달된 신호는 컴퓨터로 전송되었다. 이 칩은 통신 장치와 함께 전극이 달린 케이스에 담겨 있다. 칩이 뇌에 전달된 신호를 읽으면 통신 장치가 뇌파를 빠른 속도로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원숭이의 뇌에 비디오 게임과 연결되는 무선 컴퓨터 칩을 이식하기까지 했다. 일론 머스크는 원숭이가 신체의 움직임 없이 생각만으로 비디오 게임을 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일론 머스크가 이 기술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최종 목표는 텔레파시이다. 서로의 뇌파를 읽어 소통하고, 이를 로봇에 이식하여 생각을 보존하겠다는 것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인간 사회는 지금과는 다른 파격적인 모습을 띠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러 윤리적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 또한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이제 컴퓨터만 발전하는 시대가 아니라, 인간도 함께 발전하는 시대가 되었다. 인간의 뇌가 컴퓨터에 연결된다면 어떤 일들이 가능해질지 가늠조차 할 수 없다. 정말 놀라운 일들의 연속이 아닐까. 비록 많은 문제가 뒤따르겠지만, 픽션에서만 접하던 것들이 현실이 된다는 점에 흥분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