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9일, 신한은행 디지털 혁신단 내 통합AI센터(AICC)의 ‘설명 가능한 AI 기술(XAI)을 활용한 신용평가 모형에 대한 연구’ 논문이 한국데이터정보과학 학회지의 게재 승인을 받았다.
신한은행 AICC는 이번 논문에서 ‘AI 기반의 신용평가 알고리즘’, ‘신용평가의 각 항목들이 결과값에 미치는 영향도’, ‘AI가 도출한 결과값에 변동 발생 시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신한은행 AICC는 “AI 신용평가 시 고객의 신용등급 구성 항목 중 급여 수준, 부채 금액 등 개별 항목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도를 고객에게 설명하고 고객의 신용등급 변동 시에도 어떤 항목의 영향으로 신용 등급이 상승 또는 하락했는지를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신한은행 AICC는 고려대학교 패턴인식 및 머신러닝 연구실과 함께 금융 AI 모델의 설명력 개선을 위한 연구를 함께 진행했다고 한다.
그 결과 대출 거절 고객을 대상으로 AI가 급여, 연체 횟수, 공과금 체납 횟수, 할부 거래 비중 등 신용평가 항목을 분석해 “60일 이상 연체 횟수가 3회 미만일 경우 또는 월평균 소득 규모가 20% 이상 상승할 경우 대출이 가능합니다”라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금융 서비스에 AI를 도입할 때 설명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지속적인 XAI 연구를 통해 고객 중심의 혁신적 디지털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