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부가 제시한 전공의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15일 복귀하는 전공의는 소수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서울의 한 병원 전공의 공간 모습. 사진=뉴시스 |
[CWN 손현석 기자] 정부가 ‘사직 처리’ 마감일로 정한 기한이 지났지만 전공의 현장 복귀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1만명이 넘는 전공의 사직 처리가 불가피해졌고, ‘빅5’를 비롯한 주요 병원들의 의료공백 장기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정부가 이른바 ‘데드라인’으로 정한 전날까지 소속 수련병원에 복귀하거나 사직 의사를 밝힌 전공의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CWN에 “회신이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 외에 밝힐 내용이 없다”고 했다.
앞서 정부는 각 수련병원에 미복귀 전공의들의 복귀 및 사직 여부를 전날까지 최종 확인 후 오는 17일까지 보건복지부장관 소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을 확정하기 위해서다.
보건복지부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수련병원 211곳에 소속된 전공의 1만3756명 중 출근 전공의는 1111명에 그쳤다. 이들 외 복귀 전공의가 미미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1만명 이상의 대규모 사직 처리가 단행될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또한 정부는 사직 후 오는 9월로 예정된 전공의 모집에 응시하는 사직 전공의에게 ‘수련 도중 사직 시 1년 내 동일 연차·전공으로 복귀가 불가하다’는 규정에서 제외하는 특례를 적용해 복귀를 독려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전공의들 응시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의들은 정부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한 6월이 아닌 실제 사직서를 제출한 2월을 사직 시점으로 인정해줄 것으로 요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일부 수련병원이 복귀 혹은 사직 의사를 밝히지 않은 전공의들을 일괄적으로 사직 처리하겠다고 통보한 것에 대해서도 의료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40개 의대 수련병원 교수 대표들은 “개별 전공의들에게 복귀·사직 여부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사직 처리를 하는 것은 현 사태를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