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가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한 뒤 정부 주도에 따라 전기차 전환 노력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추세이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가 2030년까지 운전자의 전기차 전환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고자 한다면, 더 많은 혜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영국 비즈니스 뉴스 웹사이트 디스이즈머니는 영국 온라인 마케팅 기업 오토트레이더(Auto Trader)의 상업 총괄 이안 플러머(Ian Plummer)를 인용, 영국 내 전기차 전환 추세와 함께 빈부 격차가 드러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1월 10일(현지 시각), 글래스고에서 열린 기후 콘퍼런스인 COP26에서 '대중교통과 이동 수단'이라는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플러머는 COP26 회담 내용에 주목하며, 영국의 전기차 전환 상황이 다른 유럽 국가보다 뒤처졌다고 말했다.
이에, 플러머는 영국 내 전기차 판매가 인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결국 영국의 전기차 보급률이 유럽 내 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함과 동시에 전기차가 상류층의 전유물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영국 내 전기차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전기차 인센티브 확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실, 불과 몇 주 전부터 영국 내 전기차 인센티브 추가를 촉구하는 이들이 증가했다. 리시 수낙(Rishi Sunak) 영국 재무부 장관이 차량 소유주의 전기차 구매를 돕고자 6억 2,000만 파운드 상당의 예산 투자안을 발표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오토트레이더는 수낙 장관이 발표한 예산 규모로는 국민 단 12만 명에게만 전기차 구매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고 계산했다. 게다가 수낙 장관이 계획한 바와 같이 예산 투자와 함께 인센티브를 제공하더라도 저소득층 가정과 중산층 가정 중심으로 영국 가정 내 전기차 전환을 지원하기 어렵다.
가장 큰 문제는 전기차 구매 비용이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전기차 판매가는 일반 디젤 차량보다 평균 38% 더 비싸다. 중고차 시장을 가도 전기차와 디젤 차량의 가격 격차는 마찬가지이다.
오토트레이더는 비싼 가격이 전기차 전환의 주된 걸림돌이라고 보면서 현재 런던 내 전기차 소유주 10명 중 6명은 부촌 거주자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런던 이외 영국 내 다른 지역의 전기차 소유주의 거주 지역을 보더라도 상류층 밀집 지역 거주자 비율이 더 높다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이에, 플러머는 "전기차 보급 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이지만, 무엇보다도 정부의 전기차와 디젤 차량 가격 격차 완화가 매우 중요하다. 또, 전기차 소유주 대상 감면 혜택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만약, 정부가 전기차 수요의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인센티브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한다면, 유럽 다른 국가만큼 전기차 전환 지원과 보급률 증가를 이루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전기차 제조사가 영국 시장에 대한 관심을 잃고 등을 돌릴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플러머는 차량 구매자가 환경을 위해 전기차 구매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 분명하고 언급하며, 소비자의 전기차 대규모 채택을 위해 차량 사용의 편리함과 일상 속 비용 절감 효과를 모두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차량 제조사는 내연기관 차량 판매 종료와 함께 차량 판매를 늘리기 위한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고자 한다. 그러나 전기차 판매를 위한 노력은 마지막 내연기관 차량 판매 노력보다 훨씬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유럽 내 전기차 전환률이 높은 노르웨이와 프랑스, 독일은 차량 구매 비용 절감과 편리한 차량 소유 및 운행 절차를 통해 더 많은 운전자의 전기차 채택을 유도한 사실에 주목했다.
특히, 노르웨이의 전기차 구매자를 위한 금전적 혜택이 많은 운전자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현재 노르웨이 전기차 소유주는 주차료 무료와 전기차 운전자의 버스 전용노선 주행 허용을 통한 교통 혼잡 피하기 등 전기차 사용 시 기존 내연기관 차량으로는 누릴 수 없었던 다양한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노르웨이는 전기차 운전자에게 일상에서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실질적인 혜택과 함께 전기차 보급률을 높일 수 있었다. 2020년 기준 노르웨이 내 차량 등록자 70% 이상이 전기차 소유주이다.
이에, 오토트레이더는 영국 정치계에 전기차 전환을 위해 차량 소유주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정부 차원의 전기차 전환 목표 달성 어려움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낮은 전기차 구매율 때문에 전기차 제조사의 외면을 받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