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인공지능(AI)이 우리의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들었다.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온라인 쇼핑 등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추천 알고리즘을 사소하지만 대표적인 예시로 언급할 수 있다. 사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추천 알고리즘은 우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다수 전문가는 앞서 언급한 사례처럼 인간이 받아들인 범위에서 AI가 일상 속 여러 핵심 기능을 바꾸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온라인 테크 매체 벤처비트는 인간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사용하는 다수 플랫폼의 기본 요소인 소프트웨어 개발도 AI를 기반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AI는 어떤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변화를 이끌까?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한다.
지능 확대
시장 조사 기관 IDC는 올해 전 세계 AI 시장 매출이 최고 3,418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202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8.8% 수준일 것이라고 추산했다. 그와 동시에 IDC는 AI 시장의 88%가 소프트웨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중 절반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AI 시장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한다는 점에서 AI가 소프트웨어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다.
이미 깃허브(GitHub)의 코드 추천 프로그램 코파일럿(Copilot)과 오픈AI(OpenAI)의 코드 변환 프로그램 코덱스(Codex)를 비롯한 일부 AI 기반 코드 작성 프로그램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개발 실무에 투입돼, 인간의 작업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이를 고려했을 때, 향후 AI가 AI가 소프트웨어 개발과 업데이트, 배포 등에 영향을 미칠 확률이 높다. 또, 데브옵스(DevOps) 부분은 AI와 함께 갈수록 자동화되면서 대응 속도도 더 빨라질 것이다.
더 나아가 AI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업데이트를 추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AI가 여러 측면에서 인간의 사소한 작업 처리 부담을 완화하는 범위에서만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광범위한 관점
다른 여러 디지털 노동 인력과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도 AI가 주도하는 변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AI 기반 코드 작성 프로그램의 등장, 그리고 AI를 활용한 노코드 및 하위코드 프로그램의 인기 추세를 고려해, 인간 개발자는 기존의 개발 작업 단계를 고수하는 대신 광범위한 관점에서 맞춤형 솔루션을 구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날이 갈수록 AI의 학습 능력과 작업 처리 능력이 발전하므로 경험이 없더라도 누구나 프로그램 개발을 활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미 등장한 노코드와 하위코드 프로그램만 보더라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사항이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