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 과제에서 디지털 뉴딜에 데이터 댐이 속한다. 정부가 말하고 있는 데이터 댐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데이터 댐은 광범위한 데이터를 ‘댐’에 가두고 필요한 곳에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수로’에 해당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빠른 속도를 구현하는 5G 네트워크가 활용되어야 한다.
데이터 댐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활용,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전에는 개인정보의 데이터화를 위해 수집, 활용, 거래하는 것에 엄격한 규제가 있었지만, ‘데이터경제 전환 가속화’를 위한 정책적인 변화로 데이터 거래와 유통 활성화가 기대해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정부는 데이터 구축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부는 데이터양을 늘리는데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업계는 AI에 적용할 수 있는 질적인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경수 한국과학기술원 기획처장은 "데이터 댐을 구축한다고 해서 백화점식으로 한 곳에 모아놓는다고 궁극적으로 AI를 실현하는 데 힘을 보태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분산된 데이터를 한데 모아놓기보다는 이미 잘 알려진 클라우드 방식으로 분산된 데이터를 그 상태에서 끌어와서 가공해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게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구축방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