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방향성과 관련, 도전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 중 중요한 것은 네이티브 및 하이브리드 앱 개발 플랫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다. 후에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쉽게 대처하고 모바일 앱 개발 회사 트렌드에 따라가기 위해서는 두 기술을 모두 이해해야 한다.
네이티브 앱 살펴보기
네이티브 앱은 쉽게 말해서 특정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앱이다. 안드로이드와 iOS 등 운영체제별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이를 기반으로 구동되는 앱을 말하며 ‘설치형 앱’이라고도 한다. 네이티브 앱을 만들려면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툴을 활용해야 한다.
네이티브 iOS 애플리케이션은 C 또는 스위프트로 개발되는 반면 네이티브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자바로 개발된다. 따라서 많은 기업이 앞선 툴을 활용할 줄 아는 전담 개발자를 고용하게 된다.
네이티브 앱의 장점과 단점은?
네이티브 앱은 스마트폰의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툴과 언어를 기반으로 하기에 높은 사양의 그래픽과 성능을 보인다. 그만큼 앱의 구동 속도도 빠르고, 안정적이다. 아울러 스마트폰 전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기에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기능(카메라 촬영, GPS 기능, 블루투스)을 사용하는데 최적화 되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운영체제별로 앱을 개발해야 하기에 앱을 만들 때 기간이나 비용이 많이 든다.
하이브리드 앱 살펴보기
하이브리드 앱은 여러 운영 체제, 플랫폼을 위해 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된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모바일 화면에 맞춰서, 기타 검색서비스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네이버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한 형태가 하이브리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징으로는, 외부형태는 네이티브앱 이면서 실제 내부는 모바일 웹앱으로 실행된다.

하이브리드 앱의 장점, 단점
앞선 네이티브 앱과 마찬가지로 핸드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운영 체제 및 장치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개별성을 띠기 때문에 하나의 소스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에 맞게 포장이 가능하며 개발 비용이 적게 든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하이브리드 앱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그 예로는 페이스북이 출시한 'REACT NATIVE'와 구글이 출시한 'FLUTTER', 오픈소스 기반의 'IONIC'과 같은 프레임워크가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앱 개발 과정의 경우, 적절한 프레임워크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옵션 간의 기능적 차이를 이해하고, 잘 비교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보다 더 우위에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분야에만 집중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 모바일 앱 개발 회사가 필요한 옵션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