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사회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기술과 함께 사람이 아닌 시스템이 운전하는 새로운 방식의 모빌리티 사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기술이 자율주행 기술입니다.
자율주행은 단순히 ‘된다/안된다’의 개념이 아닌 총 6단계를 거쳐 완성됩니다. 이것은 미국 자동차 기술학회에서 정한 기준으로 자율주행이 없는 0단계부터 완전 자율주행차량인 5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각 단계별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우선, 레벨 0단계는 자율주행 기능이 없는 일반 차량입니다.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고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입니다. 레벨 1단계부터 자율주행의 기능이 반영되기 시작하는데 레벨 1단계는 ‘운전자 지원’ 단계로 차선 이탈 경보, 자동브레이크, 자동속도조절 등 운전을 보조해주는 기능이 탑재됩니다.
레벨 2단계는 ‘부분자율주행’ 단계로 우리가 상상하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조금 더 가까워진 단계입니다. 레벨 2단계에서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시스템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와 방향이 제어되는 기능이 탑재됩니다. 하지만,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가 아닌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하며 가속/감속 등 전방주시 및 운행방향 변경에만 개입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레벨 3단계는 ‘조건부 자율주행’ 단계로 2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앞차를 추월하거나 스스로 장애물을 감지하고 피할 수도 있는 단계입니다.
레벨 4단계인 ‘고도 자율주행’부터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차량 주행에 대한 모든 제어, 주변 환경 인식, 그리고 비상 상황 대처까지 운전자의 판단이 아닌 시스템의 통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부터 특정 조건하에 운전자가 없어도 운전이 가능하게 됩니다.
마지막 레벨 5단계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가 필요 없어 운전석이 사라지게 되고 탑승자의 목적지에 따라 시스템이 운전하는 단계입니다. 운전석이 없어 운전자의 개입이 불가한 대신 운전석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020년 7월부터는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레벨3(부분자율주행자동차)의 제작과 판매가 허용되면서 자동차 제조사의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구매도 가능해진 상태입니다.
레벨4, 5단계의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 된다면, 모빌리티의 큰 변화와 함께 우리 도시, 건축, 출퇴근 방식 등 우리 사회 전체적인 모습이 많이 변할 전망입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