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4차 산업혁명을 맞게 되며 우리는 정보화 사회에 생활하게 되었다. 컴퓨터나 멀티미디어, 통신 분야가 매체의 주종을 이루면서, 우리는 삶의 모든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그 새로운 형식의 가치로 전환한다. 이로 인해 우리 삶에서 데이터의 가치는 매우 높아졌다.
하지만 데이터는 본질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신호와 여러 형태의 불규칙한 잡음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필요 없는 정보, 즉 잡음을 걸러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자료수집능력과 분석능력이 필요하다.
이렇게 데이터를 분석하는 직업이 바로 데이터 과학자이다. 그렇다면 데이터 과학자가 필요한 역량은 어떤 것이 있을까? 바로 데이터 분석능력과 알고리즘 구현 능력, 그리고 문제 정의 및 결과 적용 능력이 필요하다.
한마디로 데이터 과학자는 통계학, 컴퓨터공학, 경영학 등 이 영역들의 융합으로 탄생한 새로운 실용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과학자는 여러 분야의 정보가 필요하므로 주로 팀으로 일하는 때가 많다. 팀은 주로 데이터 관리자, 도메인 전문가, 통계 전문가, 프로그래머 등 배경이 다른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도 데이터 과학자에게 중요한 능력이다.
요즘 코딩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진 만큼 데이터 과학자라는 직업도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앞으로의 데이터 과학자의 능력이 중요해지리라 기대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