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때문에 재택근무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택근무를 도와주는 ‘협업 툴’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협업 툴은 협업을 도와주는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로, 프로젝트 관리와 메신저, 스케쥴 관리, 자료공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이메일, 메신저 등의 여러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고, 일상생활과 업무를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닌다.
협업 툴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회사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4가지의 협업 툴을 소개해보려 한다.
1. 줌 ZOOM (화상회의, 유/무료)
영상통화, 영상녹화, 스크린 자료공유, 그룹 채팅 가능링크를 통해 회의 참석40분간 무료 사용실리콘밸리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플레이스토어 '비즈니스' 분야 1위
[zoom 공식 홈페이지]
2. 슬랙 Slack (메신저형, 유/무료)
단체 채팅방인 '채널'을 개설, 여러 채널 개설 가능sns처럼 타임라인에서 메시지를 보내면서 실시간 채팅으로 소통메시지에 파일 첨부, 다른 사람의 메시지에 댓글 작성, 북마크 기능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등 다른 협업 툴과 호환플레이스토어 다운로드 수 1,000만 회 이상 기록
[slack 공식 홈페이지]
3. 노션 Notion (메모 앱, 유/무료)
메모 앱일정 관리, 회의록 작성, 파일 공유메모 양식이 자유로움, 정리와 의견공유가 쉬움구글 시트, 구글 드라이브, 트위터, 깃허브 등 다른 도구 포함 가능교사나 대학생은 교육용 메일 인증 후 무료 사용 가능
[notion 공식 홈페이지]
4. 잔디 (메신저형, 유/무료)
국내 개발 협업 툴, 한국어에 최적화된 툴단체 채팅방인 '토픽'을 개설해서 실시간 채팅으로 소통공개 채팅 공간과 비공개 채팅 공간으로 구분 가능대화 읽음 표시, 다양한 이모티콘 사용 가능구글 캘린더,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깃허브 등과 연동한국 플레이스토어 '업무용 메신저' 중 다운로드 수 1위 기록
[잔디 공식 홈페이지]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