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 개발 작업에 발을 들이기 시작했는가? 이번에는 리눅스 입문자를 위해 리눅스 명령 출력 관련 사항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리눅스에서는 간혹 작업에 필요한 모든 것을 잡아내기에 너무 빠른 속도로 명령과 출력 파일을 실행하지 못할 때가 있다. 특히, 명령이 정보성이 강하다면 실행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원격 작업을 하거나 하드웨어가 출력을 다시 스크롤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할까?
명령어 자체는 몇 가지 소수 명령으로 연결하고, 출력 페이지를 통해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명령 출력이 너무 길거나 나중에 저장하거나 타인과 명령을 공유해야 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때, 명령 출력값을 파일로 전송하면 된다. 명령 출력값을 파일로 전송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우선, 인터넷 연결을 위한 모든 정보를 나열하는 간단한 ip 명령을 실행한다. 명령을 'ip a'로 실행하면, 인터페이스 관련 상세 정보가 모두 표시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두 개만 있어도 충분하다.
가상 인터페이스나 컨테이너도 다루고 있다면, 'ip a > output_filename'이라는 명령을 내린다. 여기서 output_filename은 생성할 파일명이다.
그리고 난 후, 파일 내용을 보거나 이메일에 첨부할 수 있다. 위의 명령을 다시 실행하면, 파일 내용을 새 출력으로 덮어쓰게 된다. 파일 끝에 출력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ip a >> output_filename'을 실행한다.
그리고, 파일을 첨부할 때, 'date >> output_filename && ip a >> output_filename'를 실행하면 된다. 이후, 다음 ip a 출력값이 실행되기 전에 타임스탬프가 삽입된다. 리눅스에서 명령 출력값을 파일에 전송하는 과정은 이처럼 간단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