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사 10명 중 6명은 코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등교사 10명 중 7명은 ‘코딩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가 부실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교육기업 시공미디어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9 코딩 정규 교과 편성 인식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현직 초등교사 30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코딩 교육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교사 64.1%는 ‘미래를 위해 코딩교육은 필수’라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취업 준비에 유리하다’와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이다’란 의견이 각각 41.8%를 차지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담긴 답변으로 풀이된다.
반면 ‘코딩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교사는 35.9%였다. 이들은 ‘사교육 시장의 과열’(38%)을 우려했다. 또 ‘미래에도 일부 IT 종사자만 코딩을 사용할 것’(30.4%), ‘학생의 학업 스트레스는 증가하고 교육 효과는 적을 것’(22%)이란 이유를 들었다.
‘코딩 정규 교과 편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긍정적 입장과 부정적 입장이 각각 55.4%, 44.6%로 나타났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 중 33%는 ‘코딩 교육이 학생의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이어 ‘코딩 정규 교과를 위한 교사 양성 대책이 부족하다’(29.5%)는 의견이 많았다.
코딩 교과를 위해 신규 채용이 아닌 기존 인력을 양성한다는 방침에 대다수 교사는 ‘실효성 있는 방안’(71.6%)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 “코딩 교사 전용 임용고시를 도입해야 한다”거나, “관련 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한 교사의 채용을 늘려야 한다”, “기존 인력과 신규 교사의 협력을 통해 체계적 교과 과정을 마련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도 나왔다.
그밖에 코딩 교과 편성에 대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 교사들은 ‘교육부 차원의 구체적인 교과 지도안 마련’과 ‘교육 환경 인프라 확충’을 가장 시급한 선결 과제로 꼽았다.
한편 코딩은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작업이다. 내년부터 초등학교 정규교과로 편성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