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씁쓸한 결과…주택공급 등 정부 대책 급선무”
![]() |
▲서울 도심 아파트의 모습. 사진=뉴시스 |
[CWN 최한결 기자] 서울에서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할 수 있는 아파트는 100채 중 6채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결과이며 제도적인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구입물량지수(K-HOI)는 55.0으로 파악됐다. 전년(47.0) 대비 8.0p 올랐다.
매년 연도별로 산출되는 주택구입물량지수는 중위소득과 자산을 활용해 총부채상환비율(DTI) 25.7%의 ‘표준대출’로 구입할 수 있는 아파트 물량 범위를 나타내는 지수다.
해당 지수가 55.0이라는 것은 중위소득 가구, 즉 월 600만 원 이상을 버는 2인 가구가 전체 100채의 아파트 중 가장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55번째 아파트까지 구입할 능력이 있다는 의미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6.4로 집계됐다. 전년(3.0)보다 올랐지만 10년 전인 2013년(27.4)과 비교하면 여전히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 수치였다. 또한 세종은 2022년 50.4에서 지난해 43.7로 하락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수가 내린 지역으로 꼽혔다. 서울 다음으로 낮은 지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쉽게 말해 벌만큼 벌어도 서울에서 구매할 수 있는 집이 고작 ‘하위 6채’뿐이라는 얘기인데, 이와 관련한 전문가들의 견해를 들어봤다.
박철한 건설산업연구원 위원은 CWN에 “서울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오른 건 사실이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공간적으로 지을 부지도 없다. 서울 아파트를 소유 중인 소득계층은 상위권에 속한다”며 “비단 서울뿐 아니라 정부 부처가 있는 세종시도 서울만큼 오르는 추세다. 참으로 씁쓸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대응책에 대해서는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주택공급에 좀 더 신경 쓸 필요가 있겠다. 아파트들을 현재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도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도 비슷한 견해를 드러냈다. 이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오르는 추세였다. 국민들 입장에서는 이 기간에 정서적으로 많이 위축됐다”며 “이렇게 된 것은 수도권 집중문제가 크게 작용했다. 주택 수 자체가 전국적으로 부족한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김인만 부동산 경제연구소장은 “서울 평균 집값은 중위 가격만 해도 11~12억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 낮은 가격대인 9억대 아파트가 비율적으로 얼마 안 된다. 이렇게 고가의 주택들이 집중됐기 때문에 집값이 오르는 건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묻는 질의에 김 소장은 “서울의 인프라들을 지방으로 분산시켜야 한다. 대학이나 의료 분야가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면서 “지방 아파트 가격이 저렴한 이유가 인프라가 없기 때문이 아니다. 세종시처럼 다른 지방들도 인프라를 확충하고 그에 따른 방안을 정부에서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WN 최한결 기자
hanbest0615@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