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보조금만 수령하는 전기 승용차 보조금 정책 시행 예정
![]() |
▲ 전기차 판매 불황이 이어지면서 각 브랜드들이 저마다 할인 정책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KG모빌리티(위)와 벤츠 EQE 등 전기차. 사진=KG모빌리티·벤츠코리아 |
[CWN 윤여찬 기자] '전기차 포비아는 계속되고, 보조금 종료 시점은 다가오고…'
해결 방법은 할인 밖에 없다.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들이 전기차 할인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미 할인을 시작한 모델들과 이제 할인에 들어갈 신규 차종들을 분류하고 있는 것.
화재로 큰 피해를 낳았던 메르세데스-벤츠는 EQE 350+의 가격을 최대 1242만원 할인한다고 7일 밝혔다. 신차 출고가가 1억350만원이지만 할인을 적용하면 9000만원 초반 대에 구입할 수 있다.
벤츠에서 가장 작은 전기차 EQA도 할인을 적용해 판매에 안간힘을 쓴다. EQA는 트림과 연식에 따라 최소 237만원에서 최대 515만원까지 할인한다. 또 EQB는 적게는 300만원에서 570만원까지 할인해 판매하고 있다. EQA와 EQB의 실구매가는 각각 보조금 적용 전 기준으로 6000만원 초반과 7000만원 초반까지 떨어진다.
할인만 있어선 안 된다. 운영 유지에도 당근이 필요하다. △벤츠는 보증 기간 2년 추가 연장 △100만원 상당의 충전 바우처 제공 △주행 중 타이어 파손 시 타이어 교환 서비스 △인천공항 무료 발렛 서비스 및 주차료 50% 할인 △벤츠 전기차 대상 무이자로 제공한다.
할인하면 빼놓을 수 없는 BMW도 있다. 준대형 전기 SUV iX x드라이브 50 스포츠 플러스 트림은 출고가 기준 12%에서 최대 15%까지 할인카드를 내세워 전기차 불황 타계에 나섰다. 출고가 1억5500만원인 가장 상위 트림인 iX x드라이브 50 스포츠 플러스 P2는 최대 2000만원까지 할인한다.
플래그십 전기 세단인 i7도 파격적인 할인 전략에 포함된다. i7 e드라이브 50M 스포츠 리미티드의 경우 신차 가격의 13.8%에서 최대 14.4%까지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할인 액수로 환산하면 2300만원에서 2600만원 수준의 할인 폭이다. 고가의 i7 M70 x드라이브는 무려 3100만원을 할인해 2억3180만원짜리 i7을 2억80만원에 판매한다.
부진의 늪에 빠져있는 아우디는 2023년식 Q4-e트론을 20% 할인해서 판매하고 있다. 해당 할인율은 전 트림에 적용된다. Q4 e-트론 스포트백 40 프리미엄의 경우 1308만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전기 퍼포먼스 세단 e-트론 GT 콰트로의 경우 최대 4642만원까지 할인한다. 2억632만원에 달하는 최고가의 모델을 1억5989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기존 할인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EV 에브리 페스타를 시행해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 N, 아이오닉 6, 코나 일렉트릭을 구매할 경우 200만원을 할인하며 현대차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의 전동화 모델인 GV60을 300만원 할인 받아 구매가 가능하다.
기아는 EV9, 봉고 EV, 니로 EV, 니로 플러스 택시를 각각 250만원, 200만원, 100만원, 100만원 할인한다. 소상공인이나 농·축·수협과 산림조합 정조합원이 봉고 EV를 구매하면 충전기 설치 비용 70만원 지원과 충전기 미설치시 차량 가격 30만원 추가 할인 또는 ICCB(220V 비상용 완속 충전 케이블)을 제공한다.
KG모빌리티는 토레스 EVX와 토레스 EVX VAN에 대해 100만원 상당의 3D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을 지원하고 코란도 EV의 경우 300만원을 할인 판매한다. 추가로 전기차 구매 고객에게 50만원 할인으로 전기차 지역 할인제를 도입한 서울시, 부산, 강원도 등에서는 50만원의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할인과 보조금을 모두 적용받으면 토레스 EVX의 경우 부산을 기준으로 940만원 상당의 할인 받게 된다. 코란도 EV는 1000만원가량의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3000만원 선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한편 환경부는 최근 전기 승용차에 대해 지자체 보조금을 받지 않고, 국고보조금만 받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보조금 정책을 내놓은 바 있다. 내년 전기차 보조금은 서울 같은 경우 82%를 깎을 예정이기도 하다. 안밖으로 전기차가 철저히 외면 받으면서 할인과 정책 변화가 동시에 추진되는 셈이다.
CWN 윤여찬 기자
mobility@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