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고강도 제품 개발로 기업가치 제고할 것"
![]() |
▲ 26일 열린 현대제철 제59기 정기주주총회. 사진=현대제철 |
[CWN 김정후 기자] 현대제철이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들과 소통하며 기업가치 제고와 탄소중립 방안, 안전사고 예방 등 사업 전반적인 계획과 전망을 공개했다.
26일 현대제철은 인천 중구 하버파크 호텔에서 제59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서강현 사장은 이사회 의장으로서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주들에게 지난해 경영실적과 올해 사업목표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서 사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철강 경기 약세와 원료가격 및 에너지 비용 상승 등 쉽지 않은 경영환경이지만 '지속성장이 가능한 친환경 철강사'라는 목표로 수익성 중심의 안정적 사업기반을 확충하고 탄소중립 로드맵을 실현해나가는 한편,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주총 이후 주주와의 소통 시간이 이어졌다. 중국·일본의 저가공세 등으로 심화되는 공급과잉 시장에서의 대응전략에 대한 질문에 서 사장은 "시장변화에 발맞춰 차별성 있는 강재 개발을 통해 신규 수요 증가에 대응해 나갈 계획" 이라고 답했다.
주가부양을 위한 주주환원방안과 정책에 대한 질문에는 김광평 재경본부장이 "수익성 개선을 통한 기업가치를 제고해 나갈 계획이라며 고부가·고강도 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안전사고 리스크 확대 우려에는 서 사장이 직접 "최근 발생한 안전사고로 주주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어 "당사는 매년 2000억원이 넘는 규모의 안전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며 "올해는 중대재해 3대 사고 유형인 추락·끼임·부딪힘을 줄이고 화재·폭발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신사업 등 미래성장사업 전략에 대한 질문에는 "철강 본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집중해나갈 예정"이라며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를 향해 단계적으로 실행에 옮기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대규모 비철소재 사업 확대는 막대한 투자를 필요로 하는 만큼 리스크가 크다"며 "9조7000억원가량의 외부 차임금이 있는데 재무구조를 위협하는 미래투자를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모기업인 현대자동차그룹이 UAM 등 미래모빌리티 및 수소생태계 구축에 집중하는 가운데 현대제철의 역할과 시너지 효과에 대한 질문도 있었다. 이에 서 사장은 "현대제철은 그룹의 사업 및 기술 역량을 최대 활용한 그린스틸 부문에서 협업 중"이라며 "수소생태계 비전 달성에 부응하고 완성차의 공급망 탄소중립 실현에 일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답했다.
한편 이날 주총에서는 △재무제표 승인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의 안건을 의결했다. 김광평 현대제철 재경본부장과 이성수 봉형강사업본부장이 새롭게 사내이사로 선임됐고 조승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도 새롭게 사외이사직을 맡게 됐다.
CWN 김정후 기자
kjh2715c@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