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CHANGE WITH NEWS) - 가전 끌고 전장 밀고…LG전자, 1분기 최대 매출액 달성

  • 구름많음청주25.7℃
  • 구름많음장수25.5℃
  • 구름많음부여29.0℃
  • 흐림서산25.3℃
  • 맑음고흥30.6℃
  • 구름많음진주29.3℃
  • 구름많음울릉도27.2℃
  • 구름많음거창30.0℃
  • 맑음합천30.5℃
  • 맑음산청29.1℃
  • 구름많음백령도24.8℃
  • 흐림천안23.6℃
  • 천둥번개북강릉23.9℃
  • 흐림원주23.1℃
  • 맑음경주시32.7℃
  • 흐림봉화27.5℃
  • 구름많음상주31.1℃
  • 흐림양평23.0℃
  • 맑음통영29.9℃
  • 구름많음보령27.9℃
  • 흐림대관령20.7℃
  • 구름조금창원29.8℃
  • 흐림춘천23.6℃
  • 흐림서청주23.8℃
  • 비대전25.6℃
  • 흐림정선군23.3℃
  • 흐림이천23.1℃
  • 흐림동두천22.4℃
  • 구름조금북부산31.6℃
  • 구름조금거제29.1℃
  • 구름조금여수28.8℃
  • 구름조금목포29.5℃
  • 구름조금순창군31.0℃
  • 흐림홍천23.6℃
  • 구름조금영천31.2℃
  • 구름조금제주33.7℃
  • 흐림영주23.3℃
  • 흐림태백21.8℃
  • 구름많음울진27.2℃
  • 구름조금고창군29.3℃
  • 흐림의성28.4℃
  • 구름조금광주30.5℃
  • 구름많음의령군29.4℃
  • 구름많음영덕29.1℃
  • 구름많음밀양31.0℃
  • 흐림제천21.6℃
  • 구름조금추풍령29.2℃
  • 흐림파주23.1℃
  • 비홍성24.5℃
  • 구름많음문경29.2℃
  • 흐림강릉27.9℃
  • 흐림북춘천23.7℃
  • 맑음광양시30.4℃
  • 흐림철원23.6℃
  • 구름조금진도군29.7℃
  • 구름많음강화24.0℃
  • 구름많음금산29.0℃
  • 구름많음구미30.6℃
  • 구름조금남해28.9℃
  • 맑음해남29.8℃
  • 흐림동해25.2℃
  • 흐림세종24.8℃
  • 구름조금서귀포31.3℃
  • 구름많음보은27.6℃
  • 구름조금함양군32.1℃
  • 소나기울산30.2℃
  • 구름조금포항33.3℃
  • 구름많음영광군30.2℃
  • 맑음부산29.9℃
  • 구름조금고창29.9℃
  • 맑음장흥31.1℃
  • 맑음완도30.8℃
  • 구름많음수원23.5℃
  • 흐림인제23.5℃
  • 흐림서울24.1℃
  • 구름조금군산29.3℃
  • 맑음북창원31.1℃
  • 구름많음전주30.2℃
  • 구름조금순천28.5℃
  • 구름조금정읍30.0℃
  • 구름많음청송군30.5℃
  • 흐림영월22.3℃
  • 맑음부안29.8℃
  • 구름많음안동31.7℃
  • 맑음강진군30.8℃
  • 구름조금흑산도28.1℃
  • 맑음고산29.7℃
  • 구름많음임실28.8℃
  • 구름조금대구33.2℃
  • 구름조금양산시31.5℃
  • 흐림인천23.6℃
  • 맑음성산29.2℃
  • 맑음김해시29.8℃
  • 맑음보성군30.6℃
  • 흐림속초25.0℃
  • 맑음남원31.3℃
  • 흐림충주23.1℃
  • 2025.09.16 (화)

가전 끌고 전장 밀고…LG전자, 1분기 최대 매출액 달성

소미연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5 14:26:19
  • -
  • +
  • 인쇄
매출액 21조959억원, 영업이익 1조3354억원
생활가전 사업 경쟁력, 전장 안정적 성장세 확인
▲LG전자가 21조959억원으로 역대 1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사진=뉴시스

[CWN 소미연 기자] LG전자가 25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조959억원, 영업이익 1조3354억원의 확정실적을 발표했다.

현재 주력사업인 생활가전이 역대 최대 매출과 두 자릿수의 기록적인 영업이익률로 글로벌 최고 수준 사업 경쟁력을 재차 확인했다. 미래 성장동력인 전장은 꾸준히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TV, 비즈니스솔루션 사업 또한 매출 확대 및 직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사 매출액은 역대 1분기 가운데 최대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에 수요회복 지연 등의 거시경제 상황이 이어졌지만, 구독 등 지속적인 매출과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사업방식을 도입하고 기회가 큰 B2B(기업간거래)에서 성장을 지속하며 달성한 성과라 의미가 크다. AI, 에너지효율, 고객 중심 디자인 등 차별화 요소를 앞세운 프리미엄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라인업과 가격대를 다변화하며 수요 양극화에 대응하는 차별적 시장 전략도 주효했다.

전사 영업이익은 1분기를 기준으로 2020년 이후 5년 연속 1조원을 넘겼다. 시장 내 경쟁 심화에 마케팅 등 자원투입이 늘어났음에도 견조한 수익성을 달성했다. 전 세계 고객이 사용중인 제품을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콘텐츠·서비스 사업이나 온라인브랜드샵을 통한 D2C(소비자직접판매) 확대 등이 수익 기여도를 높이며 질(質)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원자재 및 물류 비용 안정화, 생산지전략의 유연성 확보 노력 등도 수익성 확보에 기여했다.

사업본부별로 살펴보면, H&A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8조6075억원과 영업이익 940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2% 올라 전 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에 이은 역대 두 번째다.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를 넘긴 10.9%를 기록, 글로벌 최고 수준의 사업 경쟁력을 방증했다.

생활가전 사업은 성숙 단계로 평가받는 시장에서도 혁신을 거듭하며 업계 대비 단연 돋보이는 성장을 이뤄내고 있다. 모터, 컴프레서 등 차별화된 코어 테크(Core Tech) 역량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LG전자는 고객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 가전' 진화를 추진하는 한편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원하는 제품과 관리 등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구독 사업으로 가전 패러다임 변화도 지속 주도해 나간다. 냉난방공조(HVAC)나 빌트인 등 추가 성장 기회가 큰 B2B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낸다.

V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2조6619억원, 영업이익 52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올랐다. 그간 확보해 온 수주잔고가 점진적 매출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신규 수주물량 및 거래선 대응을 위한 해외 생산지 구축 등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매출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며 안정적 수익성을 기록했다.

최근 전기차 수요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으나, 고부가가치 전장부품의 수요는 지속 늘어나는 추세다. LG전자는 전장 사업에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파워트레인, 램프 등으로 이어지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는 만큼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HE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3조4920억원, 영업이익 132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주력시장 가운데 하나인 유럽의 TV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4년형 신제품 출시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4.2% 늘었다. 영업이익은 일반적인 제품 판매 대비 수익성이 높은 web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안정적 수익성을 확보, 흑자 전환했다. 전년 동기 대비해서는 LCD 패널 가격 등 원가 상승 요인에 소폭 줄었다.

TV 시장은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수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글로벌 1위 올레드 TV와 프리미엄 LCD인 QNED TV를 앞세운 듀얼트랙 전략을 전개하며 매출을 확보해 나가는 한편 고속 성장이 기대되는 webOS 플랫폼 사업의 수익성 기여도 또한 지속 높여 나갈 계획이다.

B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1조5755억원, 영업이익 12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5% 늘었다. 졸업, 입학 시즌을 맞아 온디바이스 AI를 구현한 LG 그램 신제품 등이 시장의 좋은 반응을 얻었고 전자칠판, LED 사이니지 등의 상업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판매가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직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다만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LCD 패널 등 부품가 상승 요인 및 경쟁 심화에 소폭 줄었다.

올해 IT 시장은 전반적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요를,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소폭 성장을 예상하는 가운데, 게이밍 모니터 등의 고사양 IT 제품이나 LED 사이니지 등의 수요가 특히 늘어날 전망이다. LG전자는 고객 니즈에 맞춰 게이밍 특화 기능, 올레드 디스플레이 등을 탑재한 전략 IT 제품과 프리미엄 LED 제품을 앞세울 예정이다. 미래성장을 위한 로봇, 전기차 충전 등 유망 신사업의 조기 전력화 노력도 지속해 나간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소미연 기자
소미연 기자 / 산업1부 차장 재계/전자전기/디스플레이/반도체/배터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자 페이지

기자의 인기기사

최신기사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

Today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