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업체 41개중 선택…통합누리집 이용
국내에 전기차 판매가 시작된 지 7년차에 접어 들었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까지 60만대의 전기차가 등록됐지만 아직도 '전기차 라이프'는 접근이 쉽지 않다. 구입 전 알아야 할 기본 상식부터 전기차로 즐기는 캠핑까지의 과정을 차근 차근 짚어본다.|편집자
[CWN 윤여찬 기자] 전기차의 시작과 끝은 충전이다. 법적으로 신축 아파트는 주차면의 5%를 전기차 충전면으로 마련해야 한다. 구축 아파트는 2%다. 아파트 입주자들이 직접 충전시설 업체를 잘 골라야 하는 게 관건하다.
설치비와 충전 요금이 가장 저렴한 곳을 찾는 건 기본이다. 충전기 설치 요청은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를 통하면 된다. 환경부에서 충전 시설비를 지원하는데 7kw 완속충전 기준 1기당 최대 140만원을 준다. 그 이상은 입주자가 지불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설치비가 저렴한 완속충전기를 아파트 출입구 쪽에 설치하기 마련이다. 배전구 시설이 있는 건물 출입구 소위 '명당 자리'에 충전기가 위치한 이유다. 배전 케이블 길이가 길어지면 m당 설치비가 비싸지기 때문이다. 에어컨 실외기와 실내기가 멀어질 수록 설치비를 더 내는 이유와 같다.
충전 시설 업체 선택이 가장 중요한데 통합누리집을 보면 7일 현재 무려 41개 업체가 나온다. 게다가 1~3순위를 체크하게 돼 있어 전문가도 업체간 비교가 쉽지 않다. 게다가 설치 초기 1년 요금 할인 프로모션 등을 하고 있어 더욱 비교가 어렵다. 아파트, 연립주택·기숙사·단독주택·관공서·학교 등 모든 시설에 설치가 가능하다.
업체별 충전 요금은 제각각이다. S사 경우 이날 현재 kWh당 평균 255원이며 최저에서 최고까지 222~288원이다. E사의 경우 kWh당 평균 300원이고 C사는 kWh당 평균 250원이다. 실물 카드를 신청하거나 앱으로 충전하도록 돼있다. 전기용량 별 충전기 수량 선택이 가능하다. 이따금 "지난달 충전 요금이 갑자기 두 배가 나왔어요"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건 초기 1년 프로모션이 종료됐기 때문이다.
설치 후 이용은 각 아파트 입주자들간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500가구 이상의 아파트는 충전을 하든 안 하든 한번에 14시간 주차가 가능하지만 급한 경우 다른 차주에게 양보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공용 화장실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CWN 윤여찬 기자
mobility@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