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중소기업벤처부 입구 전경. 사진=중소기업벤처부 |
[CWN 조승범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이 납품 계약 후에 겪는 자금조달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 동반성장 네트워크론’을 올해 신규로 추진하고, 본격적으로 접수를 받는다고 2일 밝혔다.
중소기업은 제품 수주에서 납품(대금 결제)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원부자재 구매 대금 등 생산을 위한 자금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중기부는 단기 자금조달 지원 요구가 높은 지역 중소기업에 단기·저리의 생산자금을지원하는 동반성장 네트워크론을 올해부터 10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동반성장 네트워크론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동반성장 협약을 맺은 발주기업(대기업·중견기업·우량중소기업 등 지역앵커기업)이 추천한 협력 수주 중소기업에 발주 금액의 80%까지 단기 생산자금을 조기에 대출하고, 납품 후 발주 기업이 상환하는 사업이다.
중소기업은 발주기업과 최근 1년 이내에 거래실적을 보유해야 한다. 신청 금액 규모는 결산재무제표상 매출액의 1/3(제조업은 1/2) 이내에서 15억원까지다. 발주기업은 100억원 한도 내에서 지원받을 협력 중소기업을 추천할 수 있다.
대출기간은 결제조건, 자금사정을 고려해 수·발주기업 합의 하에 30~365일 중 15일 단위로 선택해 신청이 가능하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시중은행 대비 낮은 금리로 생산자금을 지원해 중소기업의 금융부담을 낮췄다”며 “납품 후에는 발주기업이 상환 의무를 지게 됨에 따라 수주기업은 자금 운용이 자유롭고, 거래처 부도로 인한 자금난 걱정을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반성장 네트워크론은 비대면 디지털 방식으로 지원절차가 진행된다. 자금 신청 후 대출까지 5영업일 이내에 중소기업의 자금애로를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원기준, 지원대상, 신청절차 등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 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동반성장 네트워크론을 통해 중소기업이 단기 생산자금을 조기에 수월하게 확보해 원활한 생산이 촉진되고, 지역 단위 공급망 강화와 상생협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촉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