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 협상자 선정 축하 및 연구원 격려
![]() |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지난 3월 2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를 전격 방문했다. 사진=한화 |
[CWN 소미연 기자] "한화의 우주를 향한 도전, 이제부터가 진정한 시작입니다. 끊임없이 도전하고 스스로 혁신하여 글로벌 챔피언이 됩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지난달 2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 캠퍼스를 방문해 방명록에 남긴 말이다. 이 같은 현장경영 활동은 2018년 1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베트남 공장 준공식 참석 이후 5년 4개월 만이다. 이 자리에는 그룹의 우주사업 통합 브랜드 '스페이스 허브'를 총괄하는 김동관 부회장도 함께 했다.
1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 협상자 선정을 축하하고 연구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캠퍼스를 전격 방문했다. 김 회장이 찾은 대전 R&D 캠퍼스는 발사체 전 분야의 개발 수행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발사체 개발센터다.
김 회장은 누리호 고도화 및 차세대 발사체 사업의 주역인 연구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누리호 3차 발사의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자력으로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고 보유한 7번째 국가가 됐다"며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또 차세대 발사체 사업 단독 협상자 선정을 끝이 아닌 시작으로 삼아 우주시대를 앞당겨 미래 세대의 희망이 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 |
▲김 회장이 대전 R&D 캠퍼스 방문 기념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사진=한화 |
간담회는 시종일관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1차 발사 당시 격려 편지를 가져와 김 회장에게 친필 서명을 받는 연구원도 있었다. 앞서 김 회장은 누리호 사업에 참여한 연구원들에게 격려 편지와 선물을 보내왔다. 간담회에 참석한 연구원 대부분이 그 대상이다. 이들은 김 회장에게 셀카 촬영을 요청하며 친근감을 표했다.
김 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관하게 될 누리호 4차 발사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4차 발사의 완벽한 성공으로 우주 전문기업으로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자는 것이다. 4차 발사는 오는 2025년으로 예정됐다.
한화그룹은 우주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로 누적 약 9000억원에 이르는 투자를 집행해왔다. 특히 김 부회장을 중심으로 자체 기술 확보와 독자적 밸류체인 구축에 힘을 쏟아왔다. 그 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를 통한 우주수송을, 쎄트렉아이와 한화시스템은 인공위성 제작 및 위성 서비스를 담당하는 등 우주사업 밸류체인을 확보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지난 2월 순천 율촌 산단 내에 스페이스 허브 발사체 제작센터 착공식을 갖고 현재 건설이 한창이다. 센터가 완공되면 민간 체계종합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굳건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유일의 중대형 발사체 전문 기업으로서 독보적 역량을 갖추어 지속적으로 국가 우주 사업에 기여할 계획이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