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로 하이브리드 인기 '가격 인상 불가피'
![]() |
▲ 기아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가 올 연말 출시를 앞두고 테스트에 한창이다. 사진=카스쿱스 |
[CWN 윤여찬 기자]기아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가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에 합류한다. 기아의 패밀리룩 주간주행등 디자인으로 확 바뀌면서 디자인에 대한 호불호가 더욱 갈릴 것으로 보인다. 스포티지는 지금까지 기아의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따르지 않고 있는 유일한 모델 중 하나로 꼽힌다. 반면 뒷 모습은 기아의 시그니처 라이팅 디자인을 따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9일 외신과 예상도에 따르면 앞 모습은 기아의 세로형 헤드램프를 쓰지만 후면부는 또 기존 그대로의 디자인이다. 해외 위장막 테스트카 디자인를 보면 더욱 뚜렷이 확인된다. 앞 모습은 양쪽에 세로형 기둥 모양으로 램프를 세웠고 그 주변을 주간주행등이 감싼 모습이다. 하지만 테스트카의 후면부는 기존의 날카로운 디자인을 고수하고 있다. 그래서 더욱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 |
▲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의 전면부에 기아의 패밀리룩이 적용돼 있다. 사진=카스쿱스 |
![]() |
▲ 기아의 현행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는 아직 패밀리룩인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하지 않은 모델로 남아있다.사진=기아 |
기아 스포티지는 올해 말 출시될 현대차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모델과 더불어 SUV 최대 기대주로 꼽힌다. 대형 SUV엔 팰리세이드가 버티고 준중형 SUV에는 스포티지가 새로운 모습으로 인기몰이에 나선다. 게다가 스포티지는 하이브리드를 비롯해 가솔린·디젤·LPG 등 모든 연료별 파워트레인을 보유해 선택지가 넓다. 패밀리 SUV 가운데선 비교적 차체 크기가 크지 않은 편이어서 4인 가족이 탑승할 수 있으면서도 골목길 운전도 편하다. 게다가 준중형 동급인 현대차 투싼과 함께 내수는 물론 수출에서도 효자 모델이다.
이번 스포티지 신형은 페이스리프트인 만큼 차체 크기와 파워트레인은 변함없을 전망이다. 현행 스포티지의 전장은 4660㎜으로 준중형 급이라고 하기엔 넉넉하다. 중형급 기준을 4700㎜ 이상이라고 봤을때 불과 40㎜ 작다. 그러면서도 가격은 2537만~3892만원에서 형성돼 있다. 전고는 1660㎜에 전폭은 1865로 실내 폭 자체도 좁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 수준이다. 축거는 2755㎜다.
![]() |
▲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의 후면부는 기아의 패밀리룩을 따르지 않고 있다. 사진=카스쿱스 |
![]() |
▲ 기아의 현행 스포티지의 후면부는 페이스리프트 후에도 좌우 세로 기둥식 램프 디자인을 따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기아 |
가솔린 모델은 1.6 터보로 180마력을 내고 디젤은 2.0 엔진으로 184마력을 낸다. 다만 가솔린 모델에 적용되는 DCT 7단 변속기는 아직도 호불호가 갈리는 기어 형식이다. 수동기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서행시 울컥임이나 언덕 밀림 등은 사실상 거의 사라졌지만 아직도 거부 반응을 보이는 운전자들이 꽤 있다.
![]() |
▲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는 기아의 패밀리룩을 적용하면 더 크고 웅장해 보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사진=갓차예상도 |
![]() |
▲ 기아 스포티지는 현행 5세대까지 거치며 진화해 왔다. 맨 오른쪽 5세대 스포티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3년 만인 올 연말 출시를 앞두고 있다. |
스포티지 인기의 핵심은 역시 하이브리드다. 카니발이나 쏘렌토에 비해 차량 중량이 가벼운 1635kg이어서 1.6 하이브리드 적용이 상대적으로 무리없다는 평가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가격은 3213만~4054만원인데 기아의 최근 가격정책으로 볼때 200만원 안밖의 인상이 전망된다. 게다가 전기차 화재로 하이브리드 모델의 몸값이 치솟으면서 가격 인상은 불가피해 보인다.
CWN 윤여찬 기자
mobility@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