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풀무원이 국내 최초로 ICT 기반 동물복지 미래 목장을 구축한다 사진=풀무원 |
[CWN 조승범 기자] 풀무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서울대학교, 라트바이오 등 3곳과 ‘동물복지 미래 목장 설립 및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지속 가능한 미래 축산업 모델 구축과 국내 축산업의 동물복지 표준모델 수립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7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 도지사, 이효율 풀무원 총괄CEO, 김재영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장구 라트바이오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풀무원과 전북특별자치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라트바이오는 이번 협약으로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동물복지 미래목장 표준모델 구축 △스마트 낙농기술 교육 및 경영실습장 운영 △기후변화에 대비한 축산환경 대응 및 그린바이오 관련 기술 등에 관한 공동연구 △동물복지 원유를 이용한 프리미엄 유가공품 개발 및 상품화 등을 함께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풀무원의 두 번째 동물복지 프로젝트로, 기존 산란계 동물복지 프로젝트에서 대동물(젖소)로 동물복지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풀무원은 동물복지 미래 목장 조성에 대웅제약과 총 20억원을 엔젤투자한다. 이후 이를 통해 설립된 미래목장 법인은 전북 진안 성수에 있는 축산연구소에서 국내 최초의 동물복지 미래 목장 표준모델을 수립한다.
라트바이오는 미래 목장 설계 및 운영 관련 기술을 지원한다. 이 업체는 장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가 2016년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첨단 동물생명기술을 활용해 미래 바이오 제품을 생산한다.
동물복지 미래 목장은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선진화된 동물복지 축사를 벤치마킹해 축산연구소기존 축사를 리모델링한다. 동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소 개체별로 청결하고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사육장 내 활동공간을 확보해 젖소가 자유롭게 움직이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ICT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사료 급여 및 분변 청소 등 축산 과정을 자동화하며 위생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동물복지 미래 목장은 2026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완공 뒤 낙농 후계농과 신규·청년 축산인을 위한 ICT 기반 경영실습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풀무원은 해당 목장에서 생산된 동물복지 우유로 만든 프리미엄 유가공품을 2028년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