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황 부진·국제유가 상승이 물가 상승 부추겨

[CWN 최준규 기자] 서민들이 치솟는 물가에 울상을 짓고 있다.
과일 가격이 지난달 1년 전보다 40% 넘게 뛰어오르고 국제유가 상승세가 반영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랐다. 당분간은 불확실성이 커지며 물가는 3%대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7일 통계청이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전날 발표한데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보다 3.1% 올랐다. 작년 12월(3.2%) 이후 1월(2.8%)에 2%대로 떨어졌다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갔다.
농산물은 기상 악화로 작황이 부진해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전체 물가 상승에 농산물 기여는 0.80%p로 전월보다 0.21%p 늘었다.
농산물 가격은 전년보다 20.9% 올랐는데 이는 2011년 1월 24.0% 오른 후 13년1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신선과실은 32년5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하면서 41.2% 올랐다.
품목별로는 사과(71.0%), 귤(78.1%), 배(61.1%), 토마토(56.3%), 파(50.1%), 딸기(23.3%) 등에서 상승세가 확연했다.
또 최근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가 자발적 원유 감산을 2분기까지 연장하고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이 지속되면서 국제유가의 변동성도 커졌다. 지난달 석유류가 전체 물가에 기여한 정도도 지난 1월(-0.21%p)보다 0.15%p 늘어난 -0.06%p로 집계됐다.
이와 반면 가공식품(1.9%)과 외식(3.8%)은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하면서 각각 31개월, 28개월 만에 최저치다.
CWN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