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CHANGE WITH NEWS) - 이영희 성균관대 HCR석좌교수, 사이언스지 논평 게재

  • 맑음장흥20.6℃
  • 맑음추풍령17.0℃
  • 구름많음완도21.5℃
  • 맑음순천17.5℃
  • 맑음산청19.7℃
  • 맑음영주18.5℃
  • 구름많음양산시22.8℃
  • 맑음원주20.0℃
  • 맑음고창19.4℃
  • 맑음북창원22.8℃
  • 흐림성산22.7℃
  • 맑음동두천19.6℃
  • 맑음이천19.5℃
  • 맑음울진18.9℃
  • 맑음고흥20.1℃
  • 맑음통영21.9℃
  • 맑음구미20.0℃
  • 맑음임실18.4℃
  • 구름조금정선군15.8℃
  • 맑음금산18.2℃
  • 구름조금진주19.1℃
  • 구름많음의령군20.9℃
  • 맑음인제16.9℃
  • 맑음서청주18.7℃
  • 구름조금진도군20.4℃
  • 맑음영천19.4℃
  • 맑음파주17.3℃
  • 구름많음안동21.9℃
  • 맑음청주22.3℃
  • 구름많음함양군19.9℃
  • 맑음속초18.6℃
  • 맑음해남21.5℃
  • 맑음대관령12.6℃
  • 맑음인천20.5℃
  • 구름조금의성20.0℃
  • 맑음여수22.9℃
  • 맑음부산21.8℃
  • 맑음경주시19.6℃
  • 맑음강화16.9℃
  • 맑음백령도18.6℃
  • 구름조금흑산도19.9℃
  • 구름많음고산22.9℃
  • 구름많음거창18.5℃
  • 맑음보령18.8℃
  • 맑음양평19.7℃
  • 맑음거제21.9℃
  • 맑음군산19.9℃
  • 맑음강릉19.7℃
  • 맑음영광군18.8℃
  • 맑음철원19.6℃
  • 구름조금합천21.6℃
  • 구름많음영월19.2℃
  • 맑음서울20.9℃
  • 맑음태백15.0℃
  • 구름조금춘천19.7℃
  • 구름많음제주24.0℃
  • 맑음광주21.3℃
  • 맑음부안19.5℃
  • 맑음천안18.5℃
  • 맑음강진군21.4℃
  • 맑음홍성21.1℃
  • 맑음보성군21.5℃
  • 구름조금북춘천19.3℃
  • 맑음서산18.6℃
  • 맑음세종19.4℃
  • 맑음정읍19.8℃
  • 흐림서귀포25.1℃
  • 구름조금제천18.9℃
  • 구름많음봉화17.9℃
  • 맑음남해21.4℃
  • 맑음수원19.7℃
  • 맑음상주19.8℃
  • 맑음대전20.0℃
  • 맑음문경18.2℃
  • 구름많음포항21.4℃
  • 맑음충주19.1℃
  • 맑음남원19.2℃
  • 맑음순창군19.2℃
  • 맑음광양시21.4℃
  • 맑음동해18.4℃
  • 맑음북강릉17.8℃
  • 맑음영덕18.5℃
  • 맑음김해시21.4℃
  • 맑음부여19.4℃
  • 구름많음밀양23.4℃
  • 구름조금울산20.0℃
  • 맑음장수16.2℃
  • 구름조금홍천19.5℃
  • 구름많음목포21.1℃
  • 맑음창원21.4℃
  • 구름조금대구21.6℃
  • 맑음보은17.7℃
  • 구름조금청송군18.7℃
  • 맑음울릉도19.9℃
  • 맑음고창군18.2℃
  • 맑음전주21.2℃
  • 구름조금북부산22.1℃
  • 2025.09.29 (월)

이영희 성균관대 HCR석좌교수, 사이언스지 논평 게재

최한결 / 기사승인 : 2024-03-05 14:19:38
  • -
  • +
  • 인쇄
그래핀·반데르발스 반도체 접합 이용 핫캐리어 태양전지 제시
“효율한계를 극복할 차세대 태양전지 세상 도래할 것” 예견
이영희 성균관대 HCR 석좌교수. 사진=성균관대학교
이영희 성균관대 HCR 석좌교수. 사진=성균관대학교

[CWN 최한결 기자] 그동안 실리콘, 유기물, 고분자, 페로브스카이트 등 다양한 태양전지 재료를 사용해 왔지만 과연 단일물질에서 열역학적 한계인 태양전지효율 34%를 넘어설 수 있을까?

성균관대는 이영희 HCR 석좌교수가 2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IF 56.9) 내 ‘전문가의 목소리’ 코너를 통해 태양전지 효율 개선에 관한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길을 짚어보는 논평을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전문가의 목소리는 세계 과학계에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분야를 선정해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연구자의 의견을 듣는 코너다.

태양은 가시광선 이외에도 적외선, 자외선 등 다양한 빛에너지를 방출하며 이중 지구 표면에 단위면적당 평균 0.1 와트(~0.1W/cm2)가 도착한다.

지속 가능한 빛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면 푸른 지구 환경을 개선하는 데 쓸 수 있다.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는 실리콘, 유기물, 고분자, 페로브스카이트 등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실리콘을 이용한 p-n 접합 소자에 빛에너지를 조사시키면 전자를 여기시켜 전자-홀쌍을 만들고 p-n 접합에 이미 형성된 전압 때문에 전자와 홀을 분리시켜 광전류(전기에너지)를 만든다.

태양광이 입사하면 열손실 (30%), 투과도 (25%) 등으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밴드갭이 1.3eV인 경우 이론적으로 쇼클리-퀘이저 한계인 최대 34% 태양전지효율을 구현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실험적으로 단일물질에서 30% 이상의 태양전지효율을 보인 적은 없다.

태양전지 흡수체의 열손실을 회복시켜 과연 쇼클리-퀘이저 열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까? 여기에는 캐리어 증폭과 핫캐리어 추출의 두 가지 전략을 생각할 수 있다.

2배 이상의 밴드갭을 가진 빛에너지로 여기시킬 때 흡수체 내에서 전자-전자 산란이 크거나 전자-포논 결합이 약하면 열손실없이 에너지보존법칙에 의해 전자-홀쌍을 추가적으로 발생해 광전류를 증폭시켜, 결과적으로 태양전지효율을 이론적으로 44%를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높은 빛에너지로 여기시킬 때 열손실이 발생하기 전에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전극으로 추출하면 태양전지의 작동전압을 증가시켜 태양전지효율을 이론적으로 67%까지 올릴 수 있다.

보통 기존 물질에서는 캐리어-캐리어 산란이 너무 약하고 엑시톤 결합에너지가 낮아 캐리어 증폭과 핫캐리어 현상을 볼 수 없다. 그동안 PbSe, CdSe, Si 등의 양자점에서, 양자구속효과를 이용해 캐리어-캐리어 산란을 증가시켜 캐리어 증폭을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양자점을 필름으로 만들 경우 광흡수도가 선택적이고 전극저항이 커서 태양전지효율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차세대 태양전지 물질로 MoTe2, WSe2 등과 같은 이차원 반데르발스 반도체물질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2배 이상의 밴드갭을 갖는 빛에너지를 조사하면 광효율을 200% 이상으로 증폭시켜 이상적인 태양전지물질이라는 것이 증명됐다.

이영희 교수는 “그래핀·반데르발스 반도체 이종접합과 터널링층을 사용하고 더 나아가 탠덤구조를 만들면 가장 이상적인 차세대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며 “그래핀 및 반데르발스 반도체물질을 웨이퍼 크기의 필름으로 합성할 경우, 조만간 세상을 바꿀 태양전지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CWN 최한결 기자
hanbest0615@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한결
최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최신기사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5

  • 윤진한님 2024-03-05 17:31:07
    시작된 경성제대후신 서울대가, 주권.자격.학벌없이,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에, 도전해오고 있지만, 헌법.국제법,국사,세계사 자격의 정통성은, 일제잔재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그 추종세력의 도발을 인정해오지 않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학벌입니다. 세계사의 교황성하 반영,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세워진 예수회 산하의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궁 성균관대(宮, 泮宮, 學宮, 太學의 별칭가
  • 윤진한님 2024-03-05 17:30:16
    전국 유림대회 결의(고문:이승만,김구, 위원장: 김창숙)에 따라, 성균관장으로 선출된 김창숙 선생이, 미군정에, 대학기구로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의 환원(복구)을 실행하는 성균관대를 등록(성균관은 제사기구로 이원화)하여, 조선.대한제국 성균관의 승계대학으로, 미군정때부터의 국사 성균관 교육으로, 해마다, 학교에서 성균관을 교육시키고 있습니다. 세계사에서 중국 태학,국자감(원.명.청의 국자감은 베이징대로 승계하여 현재
  • 윤진한님 2024-03-05 17:30:16
    전국 유림대회 결의(고문:이승만,김구, 위원장: 김창숙)에 따라, 성균관장으로 선출된 김창숙 선생이, 미군정에, 대학기구로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의 환원(복구)을 실행하는 성균관대를 등록(성균관은 제사기구로 이원화)하여, 조선.대한제국 성균관의 승계대학으로, 미군정때부터의 국사 성균관 교육으로, 해마다, 학교에서 성균관을 교육시키고 있습니다. 세계사에서 중국 태학,국자감(원.명.청의 국자감은 베이징대로 승계하여 현재
  • 윤진한님 2024-03-05 17:29:26
    현행헌법 임시정부 구절(한일병합 무효, 을사조약등 불평등 조약 무효, 대일선전포고)에도 맞지 않는게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임.해방후 미군정부터 국사 성균관(성균관대)교육을 시켜온 나라 대한민국임.

    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 승계 성균관대는 국내외에서 6백년 넘는 역사를 행정법.국제관습법으로 인정받고 있음.Royal성균관대.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 다음 Roy
  • 윤진한님 2024-03-05 17:28:53
    헌법,국제법, 국사, 세계사의 자격앞에 겸허한 자세로, 제자들을 훌륭하게 키워주시기 바랍니다.

    헌법, 국제법, 학교교육의 교과서 교육인 국사, 세계사 자격이 기준이며 가장 합법적이고, 보편적이며 학술적임.

    필자는 성균관대 출신입니다.카이로선언이후 프랑스.소련.폴란드등이 승인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법.국내법적 위상을 상기하고, 패전국 일본잔재로 한국영토에 주권이 없어온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패전국 일본잔재로 적산재산 형태)를 국립

Today

Hot Issue